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나무 심어 탄소 흡수하자”…뉴질랜드, 소나무로 ‘서울 3배’ 채웠더니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5.28 12:05
5

▲지난해 뉴질랜드를 강타한 사이클론 '게이브리얼'이 지난해 뉴질랜드를 휩쓸고 간 모습(사진=AFP/연합)

지구온난화 주범인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한 뉴질랜드의 공격적인 조림정책이 기대했던 만큼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오자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감찰 역할을 하는 사이먼 업턴 뉴질랜드 환경위원장은 최근 보고서를 발표해 “임업을 통해 토지가 적법하게 활용될 수 있지만 조림산업을 온실가스를 쉽게 감축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취급해 인센티브를 부여해서는 안된다"고 꼬집었다.


지구온난화 대응을 위해 뉴질랜드 정부가 적극적으로 펼쳐왔던 조림산업을 지적한 것이다. 지난 4년 동안 나무가 우후죽순 늘어났지만 기대했던 결과가 나오지 않은 채 논란만 커지자 조림정책을 뒤집는 움직임이 다시 일어났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2019년 이후 현재까지 약 17만5000ha(헥타르) 규모의 라디에타 소나무가 새로 심어졌다. 이는 서울 면적의 2.9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이러한 배경엔 뉴질랜드 정부의 강력한 조림정책이 뒷받침되고 있기 때문이다.




뉴질랜드 정부는 2019년부터 기업들이 이산화탄소 감축을 인정받기 위해 해외로부터 탄소배출권을 구매하는 것을 금지시켰다. 이와 동시에 뉴질랜드 기업들이 자국내 새로 심은 나무는 탄소배출권으로 100% 인정받을 수 있도록 했다. 기업들이 나무만 심으면 온실가스를 상새시키는 효과를 낼 수 있는 셈이다.


대부분의 국가들은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축시키기 위해 근본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이러한 조치는 기존 정책을 특이하게 증폭시켰다고 블룸버그는 짚었다.


이는 그러나 막대한 부작용으로 이어졌다. 스웨덴 이케아를 운영하는 모기업 잉카그룹은 물론 독일 보험사 뮌헨 리, 일본 스미토모 등 글로벌 기업들이 뉴질랜드 조림지를 확보하기 위해 토지를 사들이자 땅값이 치솟았다.


농업이나 축산업보다 조림을 통한 수익성이 더 뛰어나자 농가들도 나무를 심거나 토지를 기업들에게 매각하는 사례도 속출했다. 남섬에서 640ha 규모의 목장을 운영하는 머레이 헬레웰은 “정부는 더 많은 나무들이 심어지길 원하고 있어 땅값은 농민들이 경쟁할 수 없는 수준으로 치솟았다"며 주변 이웃들은 기업들에게 토지를 매각했다고 토로했다.


비프앤드램 뉴질랜드의 줄리안 애시비 최고 인사이트 책임자(Chief Insight Officer)는 “숲을 통한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수 있는 땅의 30년 가치는 헥타르당 2만1300뉴질랜드 달러(약 1784만원·)인데 이는 양과 소고기를 통해 예상되는 수익을 144% 웃돈다"며 “기업들은 땅을 사들이기 위해 막대한 금액을 지불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뉴질랜드 정부는 임업을 위해 10만2000ha가 넘는 토지 매입을 해외 기업들에게 승인했다.


무분별한 조림으로 기후재앙에 따른 피해가 증폭됐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각종 산림 잔재물들이 증가한 결과 지난해 뉴질랜드를 강타한 사이클론 '게이브리얼'의 피해가 두 배 넘게 증폭됐다.


아울러 장기적으로 봤을 때 현재 정책이 이산화탄소 감축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미국 링컨대학의 존 사운더스 선임 연구원은 “숲은 상당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효율성이 떨어진다"며 “수십 년에 걸쳐 동일한 환경 효과를 달성하려면 계속해서 더 많은 나무를 심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