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충남에서 발견된 대남 전단과 오물 등을 실은 것으로 보이는 풍선(사진=연합)
북한이 날려 보낸 대남 전단 살포용 풍선 잔해 추정 물체가 전국 곳곳에서 잇따라 발견됐다. 북한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전파 교란 공격도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관계 당국에 따르면 합동참모본부가 전날 밤 북한이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전단 살포용 풍선 추정 물체가 전방지역에서 관측됐다고 밝힌 데 이어 이날 오전까지 경기와 강원 등 접경지역에서 풍선 잔해로 보이는 물체를 발견했다는 신고가 잇따라 접수됐다.
합참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까지 전국에서 260여개의 대남 오물풍선이 발견됐으며 더 이상 공중에 떠 있는 풍선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남부경찰청에는 전날 오후 10시 38분부터 이날 오후 2시까지 총 82건의 대남 전단 발견 신고가 들어왔다. 이 가운데 실제 대남 전단 추정 물체가 발견된 사례는 15건이며, 나머지는 오인 신고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발견 지역은 평택, 광주, 광명, 수원, 용인, 화성, 양평 등이다.
대부분 흰색 풍선 안에 거름 또는 전선으로 추정되는 물건 등이 들어있는 형태였으며, 내용물이 들어 있지 않은 풍선만 발견된 경우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28일 오후 10시 17분께 동두천시에 있는 한 식당 건물에서 풍선 잔해로 보이는 물체와 매달린 두엄(거름) 주머니가 발견됐다는 신고가 들어왔다.
29일 오전에는 파주시 롯데프리미엄 아울렛 인근을 비롯해 성남시 수정구의 아파트, 평택시 사후동 저수지 나무 위 등 경기 북부와 남부에서 신고가 잇따랐다.
김포시에서도 대남 풍선이 서울과 일산 방향으로 날아갔다는 신고가 들어왔다. 강원도에서도 오전 0시 12분 화천과 오전 1시 양구, 6시 13분 철원 2건 등 풍선 잔해 발견 신고가 접수됐다.
접경지에서 직선거리로 250km 이상 떨어진 경북 영천에서도 대남 풍선 잔해가 발견됐다.
오전 7시 40분께 영천시 대전동 한 포도밭 주인이 “하늘에서 떨어진 것 같은 오물로 보이는 쓰레기가 비닐하우스를 파손했다"고 경찰에 신고했다.

▲2016년 북한이 대남풍선으로 살포한 오물봉투(사진=연합)
밤사이 떨어진 풍선에는 공통으로 대변 거름 등 오물, 건전지와 신발 조각 등 쓰레기가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전 5시 30분께에는 경남 거창군 위천면 한 논에서도 북한이 날려 보낸 것으로 보이는 대남 전단 살포용 풍선 잔해 추정 물체가 발견됐다.
이 물체는 약 5m 높이 풍선 두 개에 주머니가 매달린 상태였다. 주머니 안에는 페트병과 종이 쓰레기 등이 담겨 있었다.
오전 5시 45분께에는 전북 무주군 무주읍 한 전봇대 전선에 대남 전단 살포용 풍선이 걸려 있다는 신고가 들어왔다.
커다란 흰색 풍선 아래쪽에 달린 내용물 안에는 쓰레기 등이 담겨 있었다.
인천에서도 이날 오전 11시 30분께 강화군 교동면 동산리에서 대남 전단으로 추정되는 풍선이 발견됐다는 신고가 112로 접수됐다.
군 당국은 잔해에서 대남 전단(삐라)이 포함돼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당국은 오전 기준 북한에서 보낸 것으로 추정하는 풍선 90여개를 발견했으며 일부는 땅에 떨어졌고 나머지는 계속 비행 중인 것으로 파악했다.
합참은 “미상 물체 식별 시 접촉하지 말고 가까운 군부대 또는 경찰에 신고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26일 국내 대북 단체들의 대북 전단 살포에 맞대응하겠다며 “수많은 휴지장과 오물짝들이 곧 한국 국경 지역과 종심 지역에 살포될 것"이라고 위협한 바 있다.
북한은 2016년에도 풍선에 오물을 실어 날려 보낸 적이 있다.
한편, 군 당국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새벽 서해 지역에서 남쪽을 향해 동시다발적인 GPS 전파 교란 공격을 감행했다. 이번 공격은 오물풍선 살포 직후 이뤄졌다.
현재는 중단된 상태이며 이번 공격으로 인한 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