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월가(사진=로이터/연합)
이번 주 글로벌 증시 향방을 흔들만한 빅 이벤트들이 예정됐다.
지난 한 주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32% 올랐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38% 상승했다. 두 지수는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으나 하락 전환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한 주 동안 0.29% 올랐다.
이런 가운데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은 오는 11일부터 이틀간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개최한다.
지난주 유럽중앙은행(ECB)과 캐나다중앙은행(BOC)은 금리를 인하해 피벗(통화정책 전환)에 나섰다. 앞서 스위스, 스웨덴의 중앙은행도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다만, 미국의 경우 셈법은 훨씬 복잡하다. 미국의 경제는 다른 주요국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지난 5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은 전월대비 27만2000명 증가해 월가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다. 5월 실업률이 4%로 오르긴 했지만, 전문가들은 미국의 고용 시장은 여전히 탄탄하다고 평가했다.
이 때문에 연준이 이번 FOMC에서 금리를 동결시킬 것으로 거의 확실시된다. 5월 고용보고서 발표 직후 JP모건과 씨티그룹은 애초 전망이었던 7월 금리 인하론을 폐기하기도 했다.
이번 FOMC에서 주목받는 부분은 연준 위원들의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점도표와 연준의 경제 전망이 담긴 경제 전망 요약(SEP)이다.
이번 점도표에서 올해 금리 인하 전망이 얼마나 줄어들지가 관건이다. 연준은 지난 3월 점도표에서 올해 금리가 세 차례 인하될 것이라는 전망을 유지했다.
12일 오후에는 6월 FOMC 결과가 공개되는데 이날 오전에는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된다. 이에 5월 CPI 발표는 이번 FOMC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핵심 변수로 떠오를 전망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전문가들은 5월 CPI가 전월대비 0.1%, 전년동기대비 3.4%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월보다 0.3%, 전년동기대비 3.5%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이번 주에는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가 10:1 액면분할을 실시한다. 통상 액면분할을 주가 상승의 호재로 작용한다. 엔비디아가 주식 분할 후에도 순항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시가총액 2위인 애플의 경우 이번 주 연례 세계 개발자 회의(WWDC)를 개최한다. 애플은 이 자리에서 애플 아이폰에 탑재할 새로운 인공지능(AI) 기술을 선보일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