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7월 27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박기범

partner@ekn.kr

박기범기자 기사모음




신평가가 본 셀트리온의 운전자본·재고 이슈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6.09 08:00

-연결되지 않은 법인 간 합병, 셀트리온 전년 대비 재고 5배 급증

-“분기 최대 실적으로 빠른 재고 소진”…“운전자본 이슈 단기적”

셀트리온

▲셀트리온 인천 송도 본사 모습


지난해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 합병하면서 회계상 재고자산이 급증하며 반대급부로 셀트리온의 운전자본 회전율이 급감했다. 회게적으로 위험 시그널로 해석될 여지도 있는 변화다. 하지만, 신용평가사에서는 셀트리온의 운전자본 부담은 있을 수 있으나 셀트리온의 영업능력으로 '원활히' 대응가능한 수준으로 평가했다.


9일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셀트리온 본평가에 단기신용등급 A1을 부여했다. A1은 단기신용등급 중 최고 등급이다. 이규희 나신평 책임연구원은 “시판허가 전 안전재고 확보 수요 등으로 사업에 필요한 운전자금 규모가 큰 수준으로 현금흐름 변동성이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셀트리온의 운전자금은 2022년 말 2조1880억원에서 올 1분기 말 기준 3조9298억원까지 급증했다. 운전자금은 기말의 매출채권과 재고자산 계상액의 합계에서 매입채무를 차감한 것으로 영업활동 과정에서 요구되는 현금이다.


갑자기 영업활동에 소요되는 현금이 2배 가까이 증가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사업 구조의 급격한 변화가 있을 때 가끔 발생하는데, 셀트리온의 경우에는 지난해 말 있었던 합병이 변화의 원인이다. '유통'을 담당하는 셀트리온헬스케어를 합병했기에 재고자산이 급증할 수밖에 없었다. 유통은 업태상 재고를 많이 보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익을 확보하는 구조다.


또한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연결된 법인이 아니었기에 양 사간 거래는 내부거래가 아니었다. 셀트리온이 생산한 의약품(제품)은 셀트리온헬스케어 입장에서는 상품이었다. 합병 과정에서 계상된 재고자산은 판매 마진이 반영된 상품 계상액이다 보니 재고자산 계상액은 크게 증가될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지난해 말 기준 셀트리온의 재고자산은 3조 414억원으로 2022년 말 기준 6163억원과 비교할 때 5배 가까이 증가됐다.


하지만 신용평가사는 현재 문제는 '해결 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우선 그간 쌓아 올린 업력을 근거로 뒀다. 셀트리온은 의약품 시장 규모가 가장 큰 미국 기준 5 개 바이오시밀러 및 1 개의 바이오 신약에 대한 품목허가를 취득해, 2023 년말 기준 화이자(7개), 산도즈(6개)에 이어 보유 품목 수 기준으로 공동 2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 연구원은 “램시마, 트룩시마의 경우 오리지널 의약품에 대한 첫 번째 바이오시밀러로서, 국내외 주요 시장에서 우수한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바이오신약까지 품목포트폴리오가 확대된 점을 고려할 때 회사의 연구개발능력 및 사업경쟁력은 매우 우수한 수준"으로 판단했다.


다음은 신규품목 출시다. 지난 3월 램시마를 피하주사 제형으로 전환한 램시마SC(품목명 짐펜트라)를 미국에서 출시했다. 그는 “짐펜트라는 바이오신약으로 허가돼 2040 년까지 특허보호가 가능하며 바이오시밀러 대비 높은 판


매가격 설정으로 향후 회사의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면서 “졸레어 바이오시밀러,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등 다수 신품목의 품목허가를 지난해와 올해 중 신청하고 출시를 준비하고 있고, 이 중 졸레어 바이오시밀러는 지난달 미국 품목허가를 취득했다"면서 “품목 확대를 중심으로 사업안정성 및 영업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셀트리온 내부적으로는 기존 재고가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 1분기 셀트리온은 연결 기준 분기 최대 실적을 거둘 만큼 성장세가 확연하다. 지난 1분기 셀트리온의 연결 기준 매출액은 7370억원으로 전년 동기 5976억원과 비교할 때 23% 상승했다. 합병 과정에서 높아진 원가율이 높은 탓에 영업이익이 1824억원에서 154억원으로 줄었으나, 원가율 측면은 판매 활동으로 기존 재고가 자연스레 정리된다면 해결될 문제로 판단하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연말이 된다면 원가율이 개선된 제품들이 생산되면서 매출원가율이 기존보다 20%가량 낮춰질 것"으로 내다봤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