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24일(월)
에너지경제 포토

나광호

spero1225@ekn.kr

나광호기자 기사모음




우주산업, 미래 부국강병 첨병…“‘뉴스페이스’ 위한 제도개선 필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6.16 15:30

2040년 글로벌 시장 규모 3400조원 전망…국방·통신·자원개발·의료 등 유망

국내 기업 점유율 미약…재사용 발사체 역량 강화·인재 확보·구매 보장 촉구

한화시스템

▲한화시스템의 ′저궤도 위성통신 네트워크′ 가상도

우주가 미래 먹거리로 급부상하고 있다. 국방·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부각되며 전세계가 역량 강화를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같은 흐름에 뒤쳐지지 않을 수 있는 행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2040년 글로벌 우주산업 시장 규모가 3400조원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인공위성은 △감시정찰 △위성통신 △기상관측 △자율주행 △도심항공용 모빌리티(UAM) 등의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실제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은 우주에서 지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중으로 국내에서도 한화시스템 등의 기업들이 위성을 지구 밖으로 보내고 있다.


발사체 및 위성 제작 비용이 줄어들면서 다수의 위성을 우주로 띄울 수 있게된 것도 포인트다. 이전에는 위성이 적었던 탓에 특정한 장소를 반복적으로 촬영해도 크게 의미가 없었다. 앞으로는 다수의 위성이 돌아가면서 보낸 데이터를 처리해 유의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저궤도 위성은 도심과 해상을 비롯한 지역에서도 원활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널로 쓰일 수 있다. 최근 우주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도 서비스 분야로 나타났다.




의료 분야에서도 우주사업을 주목하고 있다. 우주에서 의약품을 제조한 뒤 지구로 보내는 방식이다. 다만 해당 제품의 정보를 발사체를 제공하는 측에게 전해야 하는 특성이 있어 자국산 의존도가 클 것으로 보인다.


재사용 발사체·공중 발사체·재사용 우주선 등 우주 플랫폼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것도 이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우주산업의 경제성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일회용 발사체가 아닌 수단이 필요하다는 논리다. 스페이스X 등 외국 기업들은 이미 관련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 등은 달에서 헬륨-3, 희토류를 채취하고 탐사 범위를 넓혀 백금을 비롯한 자원도 가져온다는 구상이다.


글로벌 우주산업에서 국내 기업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1% 남짓에 불과한 상황이다. 우리나라가 7대 우주강국으로 불리고는 있으나, 상위 6개국과 비교하면 갈 길이 멀다는 것이다.


정부가 2045년까지 100조원 규모의 투자를 이끌어내 관련 기업 1000개를 육성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도 이 때문으로 풀이된다. 민간 주도의 뉴스페이스 기조 확립으로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경제적 성과를 거두기 위함이다.


지난달 경남 사천에서 우주항공청도 개청했다. 우주항공청은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 뿐 아니라 기업·연구기관·정부부처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도 수행할 전망이다.


업계는 정부가 심우주 탐사 등 기업 차원에서 맡기 어려운 미션에 도전하고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에 사업화 가능한 영역은 업계가 주도하는 형태로 개발사업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한다.


기업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법·제도적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기존에는 회사의 명운을 걸고 기술과 제품 개발에 성공한다해도 구매처가 마땅치 않았던 탓에 도전이 쉽지 않았다는 것이다.


연구개발(R&D) 형태의 협약이 체결되도 간접비 불인정과 매출 인식 불가를 비롯한 어려움이 있고 최종사용자가 정부인 경우에도 기술료 분담을 요구하는 등 기업의 부담이 과도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주 분야로 진출하는 기업들이 방위산업을 영위하면서 '진화적 개발'의 필요성을 절감한 것도 영향을 끼쳤다. 처음부터 완성본을 가져오라는 식의 정책으로는 선진국과의 격차를 따라잡지 못한다는 논리다.


업계 관계자는 “우주산업 생태계 강화를 위한 정부차원의 지원사격이 절실하다"며 “향후 산업을 이끌 수 있는 인재양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도 필수"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