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26일(수)
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넷제로냐 패권이냐…美·EU 대중 관세폭탄에 청정에너지 업계 곡소리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6.17 11:12
5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모습(사진=AFP/연합)

중국의 저가 덤핑 수출을 막기 위해 미국과 유럽연합(EU)이 관세 장벽을 올리자 청정에너지 업계에서는 곡소리를 내고 있다. 자국 산업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추진되는 서방의 관세 폭탄이 친환경 제품의 비용 증가로 이어져 글로벌 에너지 전환이 위축될 것이란 지적이다.


17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미국 최대 재생에너지 업체인 넥스트에라 에너지의 레베카 쿠자와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FT와의 인터뷰를 통해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이 둔화될 리스크가 있다며 조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산 청정에너지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면 안된다고 경고했다.


미국은 중국의 공급 과잉으로 인해 세계 경제가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면서 중국에 과잉 생산 억제를 압박하는 한편 EU와 공동 대응을 모색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달 중국산 전기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현재 25%에서 100%로 인상하는 것을 비롯해 배터리, 철강, 반도체, 태양광 패널 등 중국산 수입품 180억달러 상당에 대해 관세를 대폭 인상했다.


이에 대해 쿠자와 CEO는 “관세는 소비자들에게 비용증가로 이어져 각국의 기후 목표 달성이 어려질 것"이라며 “불확실성 또한 커질 것"이라고 꼬집었다.




쿠자와 CEO의 이같은 발언은 대중관세가 탈탄소의 비용을 높여 둔화시킨다는 업계 주장에 동참하는 것이라고 FT는 전했다.


중국 대형 태양광 업체 론지(Longi)로부터 태양광 패널을 공급받아 미국에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인베너지의 짐 머피 CEO도 “태양광 비용이 매우 불확실하다고 간주되는 경우 소비자들은 관련 기술을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고 우려하며 “자국에서 제조할 수 없는데 왜 관세를 부과해야 하는가?"라고 반문했다.


미국 정치컨설팅 업체 유라시아그룹의 허버트 크로우서 애널리스트는 “현재 미국에선 대중 정책과 기후 정책 간 자연스러운 충돌 현상이 있다"며 “미 정치권에선 대중 정책이 기후보다 더 많이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대중 관세는 더 느리고 단기적인 청정에너지 배치를 초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China Europe Electric Vehicles

▲중국 BYD 전기차(사진=AP/연합)

유럽 상황도 비슷하다. 지난 12일 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다음 달부터 중국산 전기차에 기존 10% 관세에 더해 17.4%∼38.1%포인트의 잠정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는 계획을 중국 당국과 대상 업체에 통보했다고 밝힌 바 있다. 다음 달부터 임시 조처 성격으로 관세가 부과되며, 올 하반기 EU 27개 회원국이 승인하면 향후 5년간 시행이 확정된다.


이와 관련, 블룸버그통신은 탄소 중립을 위해 유럽에선 저렴한 전기자동차가 더 많이 필요하지만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로 전기차 가격이 오랬동안 높아 판매가 억제될 수 있다고 최근 보도했다.


2035년까지 내연기관차 신차 판매를 금지하기로 한 유럽에서는 독일에서 불가리아에 이르기까지 전기차가 아직도 일반 소비자에게 여전히 비싸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비야디(BYD), 상하이자동차(SAIC) 등 중국 업체들이 저렴한 전기차를 출시하고 있지만 관세가 추가로 부과되면 많은 잠재 구매자들이 오랫동안 접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다.


비야디의 경우 초소형 전기차인 시걸을 이르면 내년말 2만 유로(약 2953만원) 미만으로 판매한다는 계획이 리스크에 처할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블룸버그 산하 에너지조사기관 블룸버그NEF(BNEF)의 알렉산드라 오 도노반 전동 수송 리서치 총괄은 “제조업체들을 경쟁에서 보호하고 소비자들이 저렴한 전기차에 접근을 막는 것은 기후 목표 달성은 물론 자국내 산업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며 “현재로서는 탈탄소가 우선순위가 아닐 수도 있다는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