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28일(월)
에너지경제 포토

성우창

suc@ekn.kr

성우창기자 기사모음




[퇴직연금 머니무브] 증권사, 규모는 작아도 수익률 1위…전망 ‘맑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10.28 15:06

증권사 퇴직연금 ‘빠른 성장’ 은행·보험 추월 눈앞

ETF 주도권 힘입어 실적배당형 상품 선호 수혜

곧 현물이전 시행…증권사로의 머니무브 부추길까

퇴직연금 (CG)

▲퇴직연금 (CG). 사진=연합뉴스

퇴직연금 시장에서 증권사들이 주도권을 잡고 있다. 적립금 규모는 은행에 비해 작지만 수익률에서 강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증권사의 주력인 상장지수펀드(ETF)가 실적배당형 상품을 중심으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곧 퇴직연금 현물이전이 시행되면 ETF 포트폴리오를 다수 보유한 증권사로의 머니무브가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28일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퇴직연금 적립금은 382조4000억원이다. 2019년부터 5년 동안 2배 가까이 성장했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15%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기관별로는 은행(51.8%)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보험(24.4%), 증권(22.7%)이 뒤를 잇고 있다.


하지만 성장 속도에서는 증권사가 가장 빠르다. 최근 5년 평균 성장률을 보면 증권사는 18.8%로 전체 퇴직연금 적립금 성장률을 앞질렀다. 은행과 보험사는 각각 15.5%, 6.62%에 그쳤다.


증권사의 빠른 성장은 DC(확정기여형) 및 IRP(개인형 퇴직연금)의 비중 증가와 무관하지 않다. 작년 한 해 DB(확정급여형)의 증가율은 6.7%로 가장 낮았고, DC와 IRP는 각각 18.1%, 31.2%를 기록했다. 임금 상승률을 따르는 DB와 달리 DC·IRP는 퇴직연금 자산운용 수익률과 연동돼 더 높은 수익을 추구할 수 있다.




이 DC·IRP 수익률에서 증권사가 은행·보험사를 앞질러 수요가 몰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작년 말 기준 증권사의 DC·IRP 원리금 비보장형 상품의 1년 수익률은 7.11%, 5년 평균 수익률은 2.9%, 10년 평균 수익률은 2.4%로 모두 선두를 차지했다.


DC·IRP 내 실적배당형 ETF 상품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도 요인 중 하나다. DC·IRP 계좌 내 실적배당형 상품 비중은 해가 갈수록 높은 증가폭을 보이고 있다. 원리금보장형과 비슷하게 안정적으로 배당이 들어오면서 수익률도 함께 추구할 수 있어 인기를 끄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실적배당형 상품 중 가장 선호되는 것은 ETF다. 적극적인 투자를 선호하는 투자자가 많아지고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활용도가 높아져서다. 증권사 가운데 가장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가 큰 미래에셋증권의 경우 이미 연금 자산 내 ETF 비중(4월 말 기준 22%)이 공모펀드(19%)를 앞설 정도로 주력 상품이 됐다.


이 실적배당형 ETF의 인기는 증권사의 퇴직연금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ETF 실시간 매매 중개는 증권사의 고유 업무이기 때문이다. 은행이나 보험 등 타 금융기관은 고객과 신탁 계약을 맺고 퇴직연금 가입자가 ETF 주문을 내면 매매 대행하는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별도의 신탁 수수료가 나오는 것도 약점으로 꼽힌다.


게다가 현재 증권사 퇴직연금 계좌에서 거래 가능한 ETF 상품은 최대 700여개에 달하는 한편, 은행은 100여개에 불과해 가짓 수 면에서도 우위다.


이에 올해 들어 각 은행이 ETF 상품 확대에 나서기도 했다. 실시간 매매 불가 및 수수료 측면에서 경쟁력은 떨어지지만 증권사로의 자금 이탈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으로 보인다. 하나은행은 ETF를 작년 대비 2배 이상 늘릴 계획이며 농협·우리은행도 수십종을 추가한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증권사의 우위를 넘어서기는 쉽지 않으리라는 의견도 제기된다. 최재원 키움증권 연구원은 “퇴직연금 현물이전으로 ETF 투자는 더 확대될 전망"이라며 “퇴직연금 현물이전 시 옮겨갈 금융사에서 기존 금융사에 있던 상품을 취급하지 않으면 이전이 불가하므로 취급 상품 수가 많은 증권사로의 이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한 금융사 퇴직연금 담당자는 “증권사로의 머니무브 가능성은 분명히 크다"면서도 “단 원리금보장 및 DB형에 대한 고정 수요는 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