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의 금리 정책에 변동이 나타나고 있다. 이번 주 신한은행이 선제적으로 대출에 대한 가산금리 인하에 나서면, 나머지 주요 시중은행들도 가산금리를 줄줄이 낮출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가산금리를 통한 인위적인 예대금리차(대출금리-예금금리) 확대 논란이 어느 때보다 커진데다, 새해 들어 은행 가계대출도 8개월 만에 첫 감소 조짐을 나타내면서 높은 가산금리를 유지할 명분이 사라진 까닭으로 풀이된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이번 주 가계대출 상품의 가산금리를 최대 0.3%p 낮출 예정이다. 상품별 인하 폭 등 세부 내용은 주초에 확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의 대출금리는 은행채 금리·코픽스(COPIX) 등 시장·조달금리를 반영한 '지표(기준)금리'와 은행들이 임의로 덧붙이는 '가산금리'로 구성된다.
은행들은 가산금리에 업무원가, 법적비용, 위험 프리미엄 등이 반영된다고 설명하지만 주로 은행의 대출 수요나 이익 규모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활용한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7월 15일 은행채 3년, 5년물 금리를 지표로 삼는 가계대출 상품의 금리를 0.05%p 인상한 것을 시작으로 꾸준히 가산금리를 올려왔다. 이번 주 가산금리 인하가 시작되면 약 6개월 만의 하향 조정이다.
신한은행뿐 아니라 대다수 주요 시중은행도 비슷한 시점부터 가산금리 폭을 꾸준히 키워왔다. 지난해 3분기 이후 수도권 아파트를 중심으로 다시 주택구입 열풍이 일어나면서 가계대출이 급증하자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대출 억제 조치를 주문한 바 있다.
신한은행이 가산금리 인하를 결정하면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 등도 가산금리 인하 기조를 보이게 되고, 이에 다른 주요 시중은행도 이같은 흐름에 동참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타 은행들의 경우 금리를 낮춘 신한은행 등에 가계대출 수요가 몰리게 되면 연초부터 영업과 실적 차질을 우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올 들어 가계대출이 성장이 아닌 뒷걸음질을 치는 추세가 나타나면서 각 은행들이 금리 정책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높다. 일부 은행이 가산금리를 정상 수준으로 낮추지 않을 경우, 가뜩이나 금리 부담으로 경제 주체들이 어려움을 겪는 시기에 '이자장사'에 몰두한다는 비판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실제로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에 공시된 '예대금리차 비교' 통계를 보면 지난해 11월 5대 은행에서 실제로 취급된 가계대출의 예대금리차(정책서민금융 제외)는 1.00∼1.27%p로 집계됐다. 5대 은행의 가계 예대금리차가 모두 1%p를 넘어선 건 지난 2023년 3월 이후 1년 8개월 만에 처음이다. 개별 은행 내부 시계열에서도 10∼21개월 만에 최대 수준이다.
지난해 10월과 11월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두 차례, 0.50%p 내려가고 시장금리도 낮아졌지만, 은행들이 예금(수신) 금리만 일제히 낮추고 대출 가산금리는 낮추지 않은 결과다.
한은의 추가 기준금리 인하 전망도 향후 은행 대출금리 하락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현재의 경기부진 상황 등을 고려할 때 한은은 이달이나 내달 기준금리를 더 낮출 가능성이 있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올해 상반기 두 차례 정도의 인하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