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앞세워 글로벌 시장을 누비던 중국 가전·스마트폰 기업들이 최근 한국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그 배경에 이목이 쏠린다. 중국 내수경기가 워낙 침체돼 수요 기반이 무너진데다 미국과 무역 전쟁을 겪을 가능성이 있어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는 차원으로 분석된다. 제품 기술력을 끌어올렸다는 판단에 과거 정면 대결을 피해온 삼성·LG전자 등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로봇청소기 업체 에코백스는 이날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디봇 X8 프로 옴니' 신제품을 공개했다. 청소에 물걸레 기능을 결합한 뒤 인공지능(AI) 기술까지 넣은 신제품이다. 현장을 찾은 데이비드 첸 에코백스 최고경영자(CEO)는 “한국은 매우 중요한 시장"이라며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선언했다.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은 이미 중국 업체들이 과점하고 있는 상태다. 점유율 1위 기업 로보락은 저가형 뿐 아니라 150만원대 프리미엄 제품까지 내놓으며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스타필드 하남·고양 등에는 매장을 열고 고객과 소통하고 있다. 작년 말에는 일체형 세탁건조기 신제품까지 출시하며 다양한 가전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대륙의 실수' 샤오미도 한국 땅을 밟았다. 지난달 국내 법인을 설립하고 스마트폰, TV, 웨어러블, 보조배터리 등 신제품을 이달 안에 출시한다고 선언했다. 샤오미 14T, 레드미 노트 14 프로 5G 등 모바일 제품에는 고객들의 관심도 상당하다. 샤오미는 지난해 3분기까지 17분기 연속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 3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TCL, 하이센스 등 TV 기업들도 한국 공략에 속도를 낼 분위기다. TCL은 지난 2023년 국내 법인을 설립하고 동향을 적극적으로 살피고 있다. 하이센스는 쿠팡에 입점하는 등 소비자 접점을 늘려나가고 있다.
이밖에 글로벌 전기차 판매 1위 업체인 BYD가 최근 우리나라에서 제품 판매를 시작했다. 알리 익스프레스, 테무 등은 이미 이커머스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텐센트 등 게임 업체들의 움직임도 발 빠르다.
업계에서는 중국 기업들의 이 같은 행보가 불확실성 증가에 따른 필연적인 결과라고 본다. 그간 14억 인구의 내수 시장을 바탕으로 고속 성장을 거듭했지만 한계에 부딪혔다는 판단에서다.
중국은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목표치인 5%를 달성하긴 했으나 부동산·서비스업 부진은 심각한 상황이다. 도시 지역 평균 실업률은 5.1%를 기록했고 청년 실업률이 50%에 달할 수 있다는 진단도 나온다. 중국은 2023년 6월 청년 실업률이 21.3%까지 치솟자 통계 발표를 중단했다가 기준 자체를 바꿔 공유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 명품 시장 매출이 20% 급감했다는 점은 소비 심리가 크게 위축돼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지표다.
'트럼프 리스크'도 이 같은 상황과 맞물렸다. 미국은 4일(이하 현지시간)부터 중국산 제품에 10% 보편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중국 역시 10일부터 원유 등에 10~15% 보복 관세를 추가한다고 밝혀 전운이 감돌고 있다. 미국이 '자국 우선주의' 정책 아래 무분별한 무역 전쟁을 벌일 경우 중국산 제품의 수출처는 줄어들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런 상황에 진입장벽이 높은 한국에 눈길을 주는 것은 중국 기업들이 스스로 제품 경쟁력을 끌어올렸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 가전·스마트폰 기업들은 저렴한 가격에 성능은 떨어지는 제품을 주로 만들어왔지만 최근 들어 기술력 확대해 매진하고 있다. 세계 최대 가전·정보통신(IT) 박람회 'CES' 무대에서도 TCL, 하이센스 등이 주인공 자리를 노릴 정도다.
정부가 기업을 노골적으로 지원하는 중국과 달리 우리 업체들은 '족쇄'를 달고 있는 처지다. 학계 한 관계자는 “제조업에 규모의 경제가 생명인데 주52시간 등 규제를 따르면서 저가 공세를 퍼붓는 중국 회사들과 상대하기 힘들다"며 “보조배터리 등 저부가가치 산업은 사실상 중국에 넘겨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 소장은 “산업 측면에서 한·중·일이 주도권을 가져가는 구조는 가전 분야도 동일하다. 임금이 높고 각종 노동 관련 규제가 중국보다 많은 우리나라가 생산성을 중시하는 분야에서 중국 공세를 극복하기는 쉽지 않다"며 “내 줄 분야는 내주면서도 (우리 기업들이) 부가가치가 높고 기술력에서 앞서는 쪽에 집중해 차별화를 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