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경현

pearl@ekn.kr

박경현기자 기사모음




시동 걸린 이영종式 ‘판 흔들기’…신한지주에 톡톡한 효자노릇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2.11 08:51

창사 이래 최대 실적, 계리 변경 속 선방
킥스 206.8%로 당국 권고치 크게 상회

APE 전 영업 채널 증가·순익 확대 시현
비은행 주력 계열사로서 역할도 확대

이영종 신한라이프 사장.

▲이영종 신한라이프 사장.

이영종 신한라이프 사장이 지난해 공격적인 영업과 금리 리스크 관리 전략을 구사한 결과 역대 최대 실적을 나타냈다. 수익성은 지주 계열 생명보험사 중 1위를 차지한 가운데 금융지주에도 크게 기여하며 주력 비은행 계열사 중 하나로서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5000억 굴레 넘었다...이영종표 '영업력 신장' 전략 특효

1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신한라이프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4724억원) 대비 11.9% 늘어난 5284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창사 이래 첫 5000억원을 넘어선 수치로, 사상 최대 이익이다. KB라이프 등 주요 지주 계열 생보사 순익 1위 자리도 유지했다.


같은 기간 보험 영업이익은 6640억원으로 작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지만 투자이익을 포함한 금융이익이 늘어 당기순이익 증가에 이바지했다. 투자이익은 금리 하락기임에도 656억원에서 1544억원으로 900억원가량(135.4%) 늘었다.


지난해 4분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6.9% 증가한 613억원을 기록했다. 계리적 가정 변경 반영과 희망퇴직 등의 영향 등 일회성 요인이 적용돼 보험손익이 감소했지만 지난해 동기 해외부동산 손실 영향 소멸과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자산(FVPL) 평가액 증가 등 금융손익이 이를 상쇄한 결과다.


금융당국이 적용을 권고한 무·저해지 보험상품 해지율 가정 변경으로 대다수 보험사들이 전분기 대비 수익 하락을 겪는 상황에서 선방한 것으로 풀이된다.




경과조치 전 신지급여력(K-ICS, 킥스)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206.8%로 집계돼 자본건전성도 안정적인 수치를 유지했다. 금융당국 권고치인 150%도 크게 웃돌았다.


대부분의 생보사들이 큰 폭의 가용자본감소로 인해 킥스 비율이 하락하고 있는 환경이기에 양호한 수치로 평가된다. 이 사장은 신한금융그룹의 밸류업 기조에 따른 배당 확대, 금리하락, 보험부채할인율 적용 등의 요인에도 장기적 관점의 자산부채종합관리(ALM) 전략을 통해 200%를 상회하는 수치를 지켜냈다.



'생보 톱2' 질주 시동 걸렸다...지주 내 영향력도 확대

신한라이프.

▲신한라이프.

지난해 순이익으로 2조원을 넘긴 삼성생명, 8660억원을 기록한 한화생명과 비교하면 아직 '생명보험사 톱2 '라는 이 사장 목표에 근접할 만한 수치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실질적인 성장세가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이 사장은 앞서 '생보 톱2'를 목표로 내걸고 전략적이고 공격적인 영업에 나서겠다고 포부를 밝힌 바 있다. 신년사·경영전략회의 등을 통해 '시장 판도 변경을 위한 영업 혁신'을 강조하며 이런 기조를 모든 전략과 조직개편 등에 적용했다.


그 결과로 영업력 신장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보장성 보험과 저축 및 연금 상품 등의 판매에서 호조를 보이며 작년 누적 연납화보험료(APE)가 각 영업 채널 모두 증가해 전년 대비 73.4% 성장한 1조5796억원을 기록했다. 영업 성장 지표로 활용되는 APE를 보면 공격적 영업 전략에 따른 성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APE는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하면 120.7% 급증했다. 전년 말 기준 보험계약마진(CSM)은 전년 대비 0.8%(581억원) 증가해 7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신한라이프의 당기순이익도 2021년 7월 통합 법인으로 출범한 뒤 꾸준히 상승 중이다. 이 사장은 지난 2023년 1월 신한라이프 수장 자리에 앉은 뒤 4724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해 전년 대비 5.11%의 성장을 시현했고, 지난해는 이 상승치의 배를 웃도는 성장률을 보였다.


이같은 성적을 바탕으로 지난해 그룹 내 비은행 주력 계열사로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해냈다는 평가다. 실제로 최근 3년 동안 그룹 내 비은행 기여도가 꾸준히 하락하는 상황에서 신한라이프 성장의 의미는 결코 작지 않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전년보다 3.4% 늘어난 호실적을 기록했지만, 이는 은행 의존도가 높게 반영된 결과다. 비은행 부문 순이익 기여도만 보면 지난해보다 약 10%p 줄어든 25.2%를 기록했다. 가뜩이나 주력 계열사 중 하나인 신한카드가 역성장을 기록하며 비은행 기여도가 크게 꺾였다.


신한금융이 비은행 부문 강화를 위해 지난해 말 정기 인사에서 교체 대상 자회사 CEO 13명 중 9명을 대거 교체하는 인사를 단행한 점을 보면 이 사장의 이번 활약이 더 돋보인다. 은행만 보면 신한은행이 6년 만에 리딩뱅크를 차지했지만 비은행에서만 15% 가량 순익 차이를 보여 KB금융에 리딩 자리를 내줬다.


신한라이프는 올해도 혁신적인 변화와 영업력 성장에 집중할 방침이다. 신한라이프 관계자는 “구성원 모두 '원팀'이라는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고객과 회사 가치 증대를 위한 도전과 혁신에 집중해 왔다"며, “올 한해는 '톱2'를 향한 질주 속에서도 중장기 가치 성장에 중심을 두고 고객 편의성 확대와 선제적이고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