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국내 비은행 금융사들이 경제성장률 둔화와 경쟁 심화라는 암초를 만났다. 정치불안정과 미국 신정부 정책기조에 따른 금융시장 충격도 변수다.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업 수장들의 고민이 깊어지는 까닭이다. 에너지경제신문은 생명보험사·손해보험사·카드사들의 페인 포인트를 만드는 원인들을 살펴보고, 위기 돌파를 위한 전략을 조명해본다.

▲DB손해보험
DB손해보험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업계 2위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을 펼칠 전망이다. 관건은 어느 기업이 업황 둔화 우려 속에서 살길을 찾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종표 DB손해보험 대표가 성장성을 유지하면서도 수익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까닭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DB손해보험의 지급여력비율(K-ICS·킥스)은 200%를 웃돌고 있으나, 올해 연결 당기순이익(지배주주순이익 기준)이 지난해(1조8609억원) 보다 감소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자동차보험의 경우 시장 점유율 1위라는 평가를 받지만, 또다시 이뤄진 보험료 인하가 수익성 향상을 저해하는 요소다. 이는 당국의 상생 압박 등에 기인한 것으로, DB손해보험은 보험료를 0.8% 낮췄다. 올해 자동차 정비 수가가 2.7% 오른 것도 실적의 발목을 잡는다.
문제는 2023년과 지난해 1분기까지 78% 수준이던 자동차보험 손해율도 지난해 3분기 83.7%로 높아졌다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80%대 초반을 자동차보험의 손익분기점(BEP)으로 보고 있다. DB손해보험이 자동차보험에서 수익을 창출하기 어려워졌다는 의미다.
실제로 지난해 3분기 자동차보험 손익은 16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1.3% 급감했다. 지난해 4분기에도 블랙아이스로 인한 다중추돌사고 등 악재가 많았다.
미국 로스엔젤레스(LA) 산불로 인한 손실도 언급된다. 김도하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DB손해보험이 하와이·괌 자연재해에 따른 보험금 및 복원보험료를 참고, 이번 화재 손실액을 1000억원대 초반으로 추정해 올 2분기 손익에 반영했다고 분석했다. 보험금융손익 저하로 인해 투자손익도 소폭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간병보험과 암보험 등을 앞세워 장기보험 시장에서 현대해상과 2위를 다투는 사업자로 부상했지만, 다른 성장동력이 필요한 까닭이다.
DB손해보험은 태스크포스(TF) 부서를 꾸리는 등 요양사업 진출을 모색 중이다. 우리나라가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상황을 활용하기 위함이다. 생명보험협회 차원에서 실버주택 사업 규제완화를 추진하는 등 환경 개선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조단위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을 보유한 삼성생명(지난해 3분기말 기준 약 4조1000억원)과 교보생명(약 1조6000억원)을 비롯한 대형 보험사 뿐 아니라 금융지주 계열사들도 시장에 뛰어들면서 경쟁 강도가 높아지는 것이 걸림돌이다.
DB손해보험은 해외에서 △장기보험 △화재보험 △자동차보험을 비롯한 상품이 창출하는 성과를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현지 보험사 지분투자를 단행하면서 베트남에서 손보사 3곳을 운영하는 등 과실도 거두고 있다.
미국에서는 캘리포니아·뉴욕·하와이 등 인구수와 경제력이 양호한 지역을 중심으로 고객 기반을 넓히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중국 뿐 아니라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동남아 국가에서 영업에 나서는 중이다. 아직 전체 보험사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으나, 국내 보험시장이 포화상태에 접어든 만큼 해외 원수보험료 확대 등으로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펫보험 시장 내 입지도 강화한다는 목표다. 반려동물 무게별 보장한도 차등화 급부방식 등을 토대로 올해 손보업계 배타적 사용권 획득 '1번타자'로 이름을 올렸다. 보험료 부담이 펫보험 가입을 꺼리게 만드는 요소라는 점에 착안한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1인가구 증가 등의 흐름에 따라 개·고양이 누적 등록 개체수(사망 제외)가 2021년 278만3000마리에서 2023년 328만6000마리로 불어나는 등 시장이 커지고 있으나, 펫보험 가입률은 1%대 후반에 머무는 상황"이라며 “반려동물 평균수명이 길어지면서 의료수요가 증가하는 것도 상품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