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자자(사진=AFP/연합)
글로벌 투자자들이 최근 들어 아시아 신흥국 증시에 눈을 돌리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예상보다 덜 강경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미 달러화 가치가 하락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23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은 지난 한 주간 중국을 제외한 MSCI 아시아 신흥시장 주식을 7억달러(약 1조원) 넘게 순매수해 7주 연속 이어졌던 순매도 행렬을 멈췄다. 이 기간 MSCI 아시아 지수(중국 제외)는 1.8% 오른 반면 미국 뉴욕증시를 대표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71%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 관세 정책을 잇따라 발표했지만 공약과 달리 즉각 시행하지 않으면서 무역 전쟁을 피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졌고 이는 달러 약세로 이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보편관세를 시행하겠다고 발표했지만 합의를 통해 관세 시행을 30일 유예했다. 투자자들은 이부분을 주목하면서 관세는 협상을 위한 수단이란 점에 무게를 실고 있다.
실제 블룸버그 달러인덱스는 관세 정책 우려 완화로 이달 고점 대비 3% 넘게 급락한 상황이다. 달러 약세는 아시아 신흥국들의 수입물가 부담을 완화시켜줄 뿐만 아니라 경기 부양을 위해 각국 중앙은행들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을 높인다.
이런 와중에 달러 강세가 이어질 것이란 투자자들의 관측에 힘이 조금씩 빠지고 있다. 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에 따르면 자산운용사들은 지난 11일까지 달러 강세에 대한 베팅을 4주 연속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이츠 투자운용의 마니시 바가르바 최고경영자(CEO)는 “무역갈등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더라도 완화되면 신흥국 시장에서 투자자들과 기업들의 환경이 안정된다"며 “특히 수출에 크게 의존하는 아시아 경제국들이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글로벌 관세전쟁에 대한 두려움이 완화되자 한국 코스피 지수가 이달에만 5.5% 올라 1.3% 상승을 보인 S&P500 지수를 아웃퍼폼(수익률 상회)했다고 짚었다.
여기에 MSCI 아시아 신흥시장 지수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이 15로 S&P500 지수(22배)보다 낮은 점도 감안하면 이번 아시아 증시 반등이 시작에 불과하다는 기대감도 나온다.
마이트리 자산운용의 한 피오우 류 펀드 매니저는 “트럼프 관세가 예상보다 느리고 규모도 약해 아시아 증시의 투자심리가 개선될 가능성이 있다"며 “줄어든 무역장벽, 약달러와 금리인하는 글로벌 성장에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한다"고 말했다.
다만 트럼프발(發) 관세전쟁 리스크가 완전하 사라지지 않았기 때문에 지나친 낙관론에 신중해야 한다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열린 '미래투자이니셔티브 프라이오리티 서밋' 연설에서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목재 및 기타 품목에 대한 관세를 다음 한 달 안에, 혹은 이보다 더 빠르게 발표할 것"이라고 말하면서 발표 시기를 당초 예고됐던 4월 초에서 앞당겼다. 지난 21일에는 '디지털세'(digital service tax)를 포함해 미 빅테크(거대 기술기업)를 규제하는 외국 정부에 관세 등으로 대응하겠다고 예고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당분간은 아시아 증시가 주목을 받을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인베스코의 윌리엄 유엔 이사는 “지금까지는 아시아 신흥국 주식들이 매수자들을 끌어들이고 있다"며 그동안 달러 강세로 인한 아시아 신흥국 증시의 저조한 흐름은 투자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