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하남시 미사노인복지관이 정식 개관 1개월 만에 시니어 시민 사이에서 핫플레이스로 떠올랐다. 참신한 배움과 건강, 소통-친교 등 사회적 네트워킹과 즐거움이 넘쳐서다. 고령자들에게 이는 아름다운 동행으로 다가섰다. 기존 복지시설에 대한 관념을 깨고 복합문화공간으로 우뚝 서 전국 지자체에 시사하는 바도 크다.
이현재 하남시장은 2일 “미사노인복지관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고 만족해하는 모습을 보며 큰 보람을 느낀다"며 “보다 더 많은 시민이 배움과 건강, 친교 속에 기쁨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 학이시습지 불역열호!…도전-성취 만끽

▲하남시 미사노인복지관 트로트교실. 제공=하남시
지난달 28일 오전 10시, 복지관 2층으로 대강당에서 진행되는 아이돌 트로트 교실의 문을 열자, 트로트 선율이 활기차게 흘러나왔다. 노인들은 즐거운 표정으로 '미운사랑' 등을 열창했다. “조금씩 노래 실력이 나아지고 있는 게 느껴져요!" 수강생들은 트로트를 배우며 리듬에 맞춰 몸을 흔들고, 노래하는 기쁨을 마음껏 누렸다.

▲하남시 미사노인복지관 컴퓨터교실. 제공=하남시
컴퓨터 초급 교실에선 노인들이 키보드 앞에 앉아 열심히 타자 연습을 하고 있었다. “기초부터 차근차근 배우고 있어요. 나중에는 인터넷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노인들은 천천히, 그러나 꾸준히 디지털 세상에 발을 들여 놓으며 익숙하지 않은 화면을 보고 한 걸음씩 나아갔다. 학이시습지 불역열호(學而時習之 不易說乎,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를 체험한 순간이다.
◆ “건강한 몸에 건강한 정신, 역시 맞는 말"

▲하남시 미사노인복지관 탁구교실. 제공=하남시
노인들 건강을 챙기는 운동 공간에도 들러봤다. '탁구 교실'에는 경쾌한 탁구공 소리가 공간을 가득 채웠다. 네트를 사이에 두고 주고받는 공 속에서 노익장다운 눈빛과 활력이 느껴졌다. “처음엔 공을 맞히기도 어려웠는데, 계속 하다 보니 점점 감이 잡혀요. 몸도 가뿐해지고 기분도 한결 좋아졌어요." 노인들은 서로 실력을 겨루며 어린아이와 같은 함박웃음을 지었다.

▲하남시 미사노인복지관 댄스스포츠교실. 제공=하남시
'댄스스포츠 교실'에선 노인들이 한 줄로 서서 왈츠 기본 동작을 익히고 있었다. 강사 설명에 따라 손끝까지 우아하게 자세를 잡고 한 걸음씩 리듬을 맞춰가는 모습이 참 진지하다. “처음엔 발이 엉켰는데, 이제는 자연스럽게 움직여지네요! 춤을 추니까 스트레스도 풀리는 느낌이에요." 서로 동작을 맞춰가며 미소를 짓고, 가끔은 웃음도 터져 나오는 모습에서 교실 활기가 그대로 전해졌다.

▲하남시 미사노인복지관 헬스장. 제공=하남시
3층 헬스장에 가니 노인들이 다양한 운동기구를 활용해 체력 단련에 열중하고 있었다. “기구가 좋아서 운동할 맛이 나요. 오전에 운동하고 나면 하루가 상쾌해요." 공기압부터 유산소 운동기구까지 잘 갖춰진 시설에 힘입어 노인들은 부담 없이 운동을 즐기며 체력을 가꿨다. 얼굴에는 청년같은 건강함이 묻어났다. 건강한 몸에 건강한 정신이 깃든다, 정말 맞는 말 같다.
◆ 경로식당, 사회적 가족-하남 공동체 의식 확대

▲하남시 미사노인복지관 경로식당. 제공=하남시
낮 11시30분, 경로식당으로 향하는 노인들 발걸음이 한층 가벼웠다. 식당 안은 웃음과 대화로 활기가 넘쳤다. 이날 식단은 잡곡밥에 구수한 버섯들깨탕, 짭조름한 간장찜닭, 그리고 아삭한 브로콜리맛살볶음이 나왔다.
“반찬 하나하나 정성이 가득해서 정말 맛있어요. 이렇게 저렴한 가격에 이런 식사를 할 수 있다니 정말 고맙네요. 주변에도 꼭 알려야겠어요." 노인들은 3000원이란 부담 없는 가격에 따뜻한 한 끼를 즐기며 정을 나눴다. 경로식당은 단순한 식사 장소를 넘어 노인들의 활기찬 일상을 서로 이어주는 소통 공간으로 기능했다. 사회적 가족, 하남 공동체 의식이 절로 자라나는 요람이 따로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