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 세번 째)김태흠 충남지사가 20일 대전 호텔 오노마에서 열린 '2025 충청미래포럼'에 참석해 대전충남특별시 기반의 560만 충청 메가시티 구축을 위한 강력한 추진 의지를 재차 확인했다. 제공=충남도
충남=에너지경제신문 김은지 기자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대전충남특별시 기반의 560만 충청 메가시티 구축을 위한 강력한 추진 의지를 재차 확인했다. 이는 지방 소멸 위기를 넘어 세계 무대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됐다.
20일 대전 호텔 오노마에서 열린 '2025 충청미래포럼'에 참석한 김 지사는 “17개 시도라는 낡은 행정 체제를 버리고 국가 개조급 행정통합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포럼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김영환 충북도지사, 최민호 세종시장 등 200여 명이 참석했으며, '충청이 대한민국의 미래다'를 주제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됐다.
김 지사는 환영사를 통해 교통과 통신 발달에 따른 생활·문화·경제권 변화로 인한 현 17개 시도 행정 체제의 변혁 필요성을 언급하며 “지방 소멸을 극복하고 경쟁력을 갖추려면 전국을 몇 개 권역으로 묶는 행정통합이 필수적"이라고 전했다.
또한 그는 “광역 행정구역 개편은 국가 변혁과 도약의 밑바탕이 될 것이며, 대전·충남 행정통합은 그 마중물이 될 것"이라며 “대전충남특별시는 인구 360만으로 전국 3위, 경제력은 유럽 신흥 산업국가와 맞먹는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이 수도권 대학과 기업 이전, 인재 양성과 일자리 창출 등 자립적인 경제 발전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또한 초광역 교통망 연결로 지역 발전을 촉진하고 중앙정부와 정치권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자치경찰 실질화 및 특별지방행정기관 지방 이양 등을 통해 진정한 지방정부를 구현하겠다"며 “우리 후배들이 서울을 넘어 세계 시민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극세척도'의 마음으로 노력하면 충청이 대한민국 중심으로 도약하는 날은 멀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