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정재우

jjw5802@ekn.kr

정재우기자 기사모음




경북도의회, 산불 피해 1040억 긴급추경 의결…820억 긴급생활지원금 등 다양한 지원 포함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01 15:15

안동=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 경상북도의회가 초대형 산불 피해 지역의 신속한 복구와 주민 지원을 위해 1040억 원 규모의 긴급 추가경정예산(추경)을 심의·의결했다.


이번 추경은 피해 주민들의 생활 안정과 지역 경제 회복을 목표로 하며, 820억 원의 긴급생활지원금을 포함한 다양한 지원책이 포함됐다.


◇산불 피해 5개 시군 주민 대상 820억 원 긴급생활지원금 지급


산불 피해 5개 시군 주민 대상 820억 원 긴급생활지원금 지급

▲경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는 3월 31일 제354회 임시회 상임위원회 회의를 개최하고, 기획조정실 소관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의·의결했다. 제공-경북도의회

경북도의회 기획경제위원회는 3월 31일 제354회 임시회 상임위원회 회의를 개최하고, 기획조정실 소관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의·의결했다.


이번 예산안은 2024회계연도 결산 잉여금 중 1,238억 원을 증액 편성하여 산불 피해 복구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집중 투자하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산불 피해를 입은 5개 시군 27만여 명의 주민에게 1인당 30만 원씩 지급하는 820억 원의 긴급생활지원금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일부 위원들은 “추경 예산의 지원 대상과 지급 방식이 구체적이지 않다"며 집행의 실효성을 우려했다. 이에 대해 기획경제위원회는 피해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부대 의견을 덧붙여 원안 가결했다.


이선희 위원장은 “산불로 인해 삶의 터전을 잃은 주민들의 아픔을 깊이 공감하며, 신속하고 효과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며 “도의회와 집행부가 협력하여 도민의 안전과 생계를 지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지역 경제 활성화 대책도 논의…신속한 임시주거시설 마련 절실


행정보건복지위원회 예비심사에서도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실질적 대책 마련이 강조됐다.


행정보건복지위원회 권광택 위원장(안동)은 “산불 피해로 삶의 터전을 잃은 주민들에게 가장 시급한 것은 안정적인 거주 공간"이라며, “모듈러 주택 등 임시주거시설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 이번 산불로 인해 주택 3766동(전소 3703동, 반소 28동, 부분소 35동)이 피해를 입어 상당수 주민이 주거 불안에 직면해 있다.


이에 권 위원장은 중앙정부 및 타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하여 임시주거시설을 신속히 확보하고, 친인척 집에 임시 거주하는 피해 주민들에게도 숙박비를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아울러 지역 경제 활성화 대책도 논의됐다. 권 위원장은 “산불 피해로 관광객 감소가 우려되는 만큼, 지역 내 숙박시설을 임시주거시설로 활용하여 소상공인 경제 회복과 주민 지원을 동시에 도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산불 피해 지역은 광범위한 삼림 훼손으로 인해 침식 및 산사태 발생 위험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권 위원장은 여름철 장마가 오기 전, 토사 유실 및 추가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농번기를 앞둔 시점에서 농업 기반이 전소된 농가에 대한 지원이 절실하다.


권 위원장은 “농기계 임대·구매 지원을 비롯한 실질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며, 농업 회복을 위한 재정적 지원을 적극 요청했다.


한편, 피해 지역 내 경로당, 공장, 소상공인 업소 등도 큰 피해를 입은 만큼, 노인 복지시설 복구 및 피해 기업 지원 방안도 병행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권광택 위원장은 “이번 추경을 통해 편성된 예산이 피해 주민들의 실질적인 생활 복구에 기여해야 한다"며, “지원이 절실한 주민들에게 신속하고 공정하게 예산이 집행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북도의회는 이번 긴급 추경을 통해 산불 피해 복구 및 주민 지원을 위한 체계적인 대응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예산이 실질적으로 피해 주민들에게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집행 계획과 철저한 사후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