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美 관세·경기침체 헤지 수단”…골드만, 일본 엔화 환율 급락 전망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02 15:05
JAPAN-ECONOMY/BOJ

▲일본 엔화(사진=로이터/연합)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달러 대비 일본 엔화 환율이 앞으로 급락(엔화 강세)할 것으로 전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이에 따른 미국 경제침체 우려로 안전자산인 일본 엔화에 대한 수요가 몰릴 것이란 이유에서다.


골드만삭스의 카마크샤 트리베디 글로벌 외환, 금리 및 신흥시장 전략 총괄은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 경기 침체 가능성이 높아질 경우 엔화는 투자자들에게 최고의 헤지 수단을 제공한다"며 올해 엔/달러 환율이 달러당 140엔 초반대로 급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블룸버그는 “현 시점에서 엔화 가치가 7%가량 오른다는 의미"라며 “애널리스트들의 조사결과 중간값인 145엔보다 더욱 강세적인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트리베디 총괄은 “미국 실질 금리와 미국 증시가 모두 하락할 때 엔화가 좋은 성과를 내는 경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과 이에 따른 미국의 인플레이션 및 경기침체 우려가 부상하면서 글로벌 증시를 짓누르고 있는 상황이다.




미 뉴욕증시 3대 지수는 지난달까지 2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이 기간 우량주 그룹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5.15% 하락했고 뉴욕증시를 대표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 6.27%, 기술주 중심 나스닥지수는 8.09%씩 뒷걸음쳤다.


최근 골드만삭스는 미국 경기침체 확률을 20%에서 35%로 올리면서 올 연말 S&P500 전망치를 6200에서 5700로 하향 조정했다. 골드만삭스는 이어 관세 여파 등을 이유로 올해 미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0%에서 1.5%로 하향 조정하고 미 기준금리는 0.25%포인트씩 3차례 인하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의 경제 성장률을 실시간으로 추정하는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GDP 나우(now)' 모델은 이번 1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전기 대비 연율 환산 기준 -3.7%로 다시 낮춰 발표했다. 지난달 28일 제시한 -2.8%에서 0.9%포인트 추가 하향 조정된 것이다.


트리베디 총괄은 미국 달러화가 강세로 돌아서려면 노동시장 등을 포함한 경기지표가 개선돼야 한다고 진단했다. 블룸버그는 “화요일(1일) 미국 2월 구인 건수가 공개된 후 엔화는 강세를 보였다"고 전했다. 이날 미 노동부가 발표한 2월 구인 건수는 약 757만 건으로 시장 예상치(763만건)를 밑돌았다.


트리베디 총괄은 “미 노동시장 지표가 약세를 보일 경우 외환시장 투자자들뿐만 아니라 미국 경제 전망을 우려하는 일반 글로벌 투자자들로부터 주목을 받을 것"이라며 “그런 점에서 일본 엔화는 매우 좋은 헤지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골드만삭스)와 시장이 경기 침체 확률을 높이는 시나리오에서는 엔화가 절상될 여지가 있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의 마크 크랜필드 전략가는 “일본은행이 다음 분기부터 장기채 매입을 줄이겠다고 발표한 만큼 엔/달러 환율 하락세는 미일 금리차 축소로 주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블룸버그는 다만 엔화 강세 베팅에 리스크도 있다고 짚었다. 올해 엔/달러 환율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2022년 중반부터 본격화된 엔저(円低)는 여전히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엔/달러 환율은 지난해 7월 달러당 161.95까지 치솟기도 했다.


여기에 헤지펀드 등 투기세력은 올 들어 엔화 약세 전망을 일부 철회하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 엔화 매도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한편, 트리베디 총괄은 지난해 3월 23일 노트를 내고 3개월, 6개월, 1년 뒤 엔/달러 환율 전망치를 각각 155엔, 150엔, 145엔으로 제시한 바 있다.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은 지난달 11일 장중 달러당 146.54엔까지 하락했다. 2일 한국시간 오후 3시 4분 기준, 엔화 환율은 달러당 149.84엔을 보이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