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전 세계에 파멸”…트럼프 상호관세 발표에 글로벌 금융시장 요동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03 08:51
US-POLITICS-TARIFF-TRADE-DIPLOMACY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AF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 관세를 전격 발표하자 글로벌 금융시장이 출렁였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3대 지수는 불확실성 해소를 기대하면서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56% 올랐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와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 역시 각각 0.67%, 0.87% 상승했다.


그동안 증시에 반영된 관세 관련 비관론이 과도했다는 평가가 확산한 것도 이날 증시 상승을 이끌었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계획에 대한 월가의 최대 공포가 잘못됐다는 인식으로 안도 랠리가 있었다"며 “결국 트럼프 대통령이 말한대로 무역전쟁 가속화가 현실화됐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S&P500 선물과 나스닥100 선물은 각각 3.3%, 4.2% 하락했고 러셀2000 선물은 5% 가까이 급락했다고 전했다.




상호관세 대상국과 연관된 미국 주식들도 시간외 거래에서 일제히 급락했다. 베트남에서 생산된 제품을 공급받는 나이키, 룰루레몬 등은 정규장에서 상승 마감했지만 시간외 거래에서 최소 7% 급락했다. 중국 공급망에 대한 의존도가 큰 애플 주가 역시 7%대 하락세를 보였고 엔비디아와 AMD는 5%대 하락률을 보였고, 캐터필러와 보잉도 3% 넘게 빠졌다.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에 주목하면서 미 국채와 국제금값은 상승했다. 관세에 유력한 헤지 수단으로 주목된 일본 엔화 또한 1% 가까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관세가 시장이 예상한 것보다 훨씬 강경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 투자자들의 투매 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공개한 상호관세를 보면 국가와 상관없이 기본적으로 10%의 보편관세가 부과됐다. 여기에 국가별 무역 장벽 등을 반영해 징벌적 관세를 추가로 얹는 상호관세가 적용됐다.


국가별 관세율은 △중국 34%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일본 24% △영국 10% △한국 25% △태국 36% △스위스 31% △캄보디아 49% △대만 32% △인도 26% 등이다.


이와 관련, CNBC에 따르면 블루칩 트렌드 리포트의 래리 텐타렐리 수석 기술적 전략가는 “10% (보편관세)에서 멈췄으면 현재 시장은 상승세를 보였을 것"이라며 “하지만 관세율이 예상보다 더 큰 것으로 발표되자 현재로서는 하방 변동성이 더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제프리스의 브래드 베치텔 외환 총괄은 “기대했던 것보다 더욱 공격적"이라며 “전 세계에 더 큰 파멸"이라고 블룸버그에 말했다.


일각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를 계기로 S&P500 증시가 기술적 약세장(전고점 대비 20% 하락)에 진입할 수 있다는 관측마저 나온다.


BCA리서치의 마르코 파픽 수석 전략가는 “이것(상호관세)이 정책으로 유지된다면 세계가 영구적으로 탈(脫)세계화되는 새로운 현실이 고착화될 것"이라며 “이 과정에 어떤 형태로든 침체가 올 것이고 이는 추가 하방 압력을 의미한다. 증시가 10% 추가로 쉽게 빠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종가 기준으로 S&P500 지수는 2월 고점대비 7.7% 하락한 상황이다. 파픽 전략가의 전망대로 증시가 10% 추가로 하락하면 S&P500 지수는 약세장 진입을 앞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