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충격 현실화, 실적 부담 가중
1Q 매출 증가에도 영업이익 둔화 전망
단기 불확실성 지속, 반등까지 시간 필요
![현대차 증권의 지난 1분기 실적 전망치. [사진=대신증권]](http://www.ekn.kr/mnt/file_m/202504/news-p.v1.20250408.1836b44c1b4642ce82da06f93fd2a603_P1.png)
▲현대차 증권의 지난 1분기 실적 전망치. [사진=대신증권]
최근 증권사들이 잇달아 현대차의 목표주가를 하향하고 있다.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실적 감소 우려가 커진 데다, 환율 우호성에도 불구하고 판매보충비용 증가와 지정학적 리스크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해외 판매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방어에 대한 불확실성이 확대된 점도 주요 이유로 꼽힌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대신증권, SK증권, 현대차증권 등 3곳이 현대차 목표주가를 일제히 하향 조정했다.
대신증권은 미국 관세 부과로 인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비용 증가가 실적에 반영될 것으로 내다봤다. 관세 부과 자체는 이미 확정됐지만, 이에 대한 현대차의 대응 전략이 아직 완전히 가시화되지 않았다는 점을 리스크로 지목했다. 대신증권은 현대차에 대한 목표주가를 기존 31만원에서 28만원으로 10% 내렸다.
김귀연 대신증권 연구원은 “관세 불확실성은 일차적으로 해소됐으나 대응 전략과 하반기 실적 반영이 관건"이라며 “미국 내 현지 생산 확대, GM과의 협력 강화, 환율 효과 등을 통해 관세 충격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연구원은 이어 “2025년 1분기 현대차 매출은 42조3000억원, 영업이익은 3조4000억원으로 예상된다"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4% 감소한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미국 관세 부과로 연간 최대 7조원의 영업이익 타격이 예상되지만, 미국 생산 확대와 공급망 효율화, 환율 우호성 등으로 일부 방어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SK증권도 관세 부담을 본격적으로 실적에 반영했다. SK증권은 현대차 목표주가를 기존 33만원에서 27만원으로 대폭 하향했다.
윤혁진 SK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25% 관세 부과에 따라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를 기존 3조9000억원에서 2조9000억원으로 하향한다"며 “관세에도 불구하고 판매가격 인상 없이 전년 수준의 판매량을 유지할 경우 연간 약 5조2000억원의 영업이익 감소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윤 연구원은 “1분기 예상 매출액은 43조3000억원, 영업이익은 3조5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6.4%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1.5% 감소할 전망"이라며 “우호적인 환율 효과에도 불구하고 북미 판매 비중 확대에 따른 판매보충비 증가와 경쟁 심화가 수익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윤 연구원은 “단기적으로는 인센티브 감소 등으로 관세 영향을 축소하겠지만, 미국 생산 차량의 부품가격 상승에 따라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현대차증권은 장기 성장성을 강조했지만, 관세 영향으로 목표주가를 기존 33만원에서 27만원으로 낮췄다.
장문수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관세로 대표되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확대된 구간에도 미국 투자 확대와 GM 협업 등 단기적인 정책·전략 대응과 함께 로보틱스로 대표되는 장기 성장이 주가 할인을 해소시킬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장 연구원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5% 감소한 3조5100억원 기록하며 컨센서스 3.4% 하회할 전망"이라며 “계절 비수기 영향에도 우호적 환율, 관세 집행 전 미국 도매 증가로 수익성 방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경쟁 우위 기업간 협력 강화 수혜: 로보틱스와 자율주행 등 미래 성장에 대한 기대 고조 전망. 유연한 생산 능력, 전 친환경차 구동기술 보유, 정치·지정학적 리스크 완화할 거점·상품 다변화, GM, Waymo, 도요타 등 경쟁력 있는 업체와 상호 보완적 협력 관계 구축으로 전략적 경쟁 우위"라고 평가했다.
다만 3개 증권사 모두 공통적으로 현대차의 현재 주가 수준은 저평가돼 있다고 진단했다.
대신증권은 “목표주가를 하향했지만, 관세 협상 가능성과 우호적인 환율 환경, 자사주 매입 등 주주환원 정책이 주가 하단을 지지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SK증권은 “관세로 인한 비용 증가를 감안해 실적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지만, 2025년 예상 주가수익비율(PER)이 4배에 불과해 밸류에이션 매력은 여전히 높다"고 설명했다.
현대차증권도 “하반기 25% 관세 부과를 감안해 추정치 변경, 낮아진 이익 레벨을 고려할 때 주가는 여전히 매력적"이라는 판단이다. 이어 “관세에 대한 불안 요인을 고려할 때 해당 이슈가 해소되는 구간에서 주가 회복 탄력성은 높을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그럼에도 단기적으로는 관세 불확실성, 글로벌 수요 둔화, 경쟁 심화 등 복합적인 리스크가 존재해 주가 반등에는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신중론도 제기된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현대차는 장기적으로 성장성이 유효하지만, 당장 관세 부과 충격을 완전히 흡수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며 “관세 협상 진전과 글로벌 수요 회복이 확인돼야 본격적인 주가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