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롯손해보험.
한화손해보험이 캐롯손해보험 흡수합병을 검토하고 있다. 설립 이후 꾸준히 적자를 냈지만, 매각 보다는 '의리'에 방점을 두는 셈이다.
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문효일 캐롯손해보험 대표는 지난달 26일 타운홀미팅에 참석한 직원들에게 연내에 한화손해보험에 흡수합병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양사는 태스크포스(TF) 구성 등 합병을 위한 단계를 밟아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캐롯손보는 SK텔레콤·현대자동차·알토스벤처스 등이 2019년 설립된 국내 1호 디지털 손보사로, 한화손보가 60%에 달하는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티맵모빌리티의 지분율도 10.74%다.
캐롯손보는 국내 최초로 주행거리만큼 보험료를 정산하는 '퍼마일 특약'을 출시하고, 최근에도 현대차 전기차를 대상으로 하는 긴급출동 서비스 특약을 선보이는 등 주력으로 삼은 자동차보험을 중심으로 영업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2020년 381억원, 2021년 650억원, 2022년 841억원, 2023년 760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는 등 어려움이 지속됐다. 지난해의 경우 원수보험료 확대 등에 힘입어 적자폭을 662억원으로 줄였지만, 흑자전환에는 실패했다.
지난해말 기준 신지급여력제도(K-ICS·킥스) 비율은 156.24%로, 전분기말 대비 33.2%포인트(p) 하락했다. 이는 금융당국이 중·소형 보험사에 권고하는 수준(150%)을 상회하는 수치다.
올해도 업계 전반적으로 △손해율 증가 △보험료 인하 △정비수가 인상 등의 악재가 발목을 잡을 것으로 보이는 만큼 실적 개선이 어려운 상황이다. 국내 보험시장이 대면 영업 중심으로 형성된 것도 캐롯손보의 어려움을 가중시킨 원인으로 풀이된다.
그간 유상증자 등을 통해 캐롯손보에 2300억원 이상의 자금을 수혈해온 한화손보의 지원사격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도 언급된다. 한화손보의 킥스 비율은 211.9%로 대형 보험사 권고 수준(200%)도 넘지만, 최근 화두로 떠오른 기본자본 기준 킥스 비율은 105.3%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해 한화손보는 “매각을 제외한 합병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에 있으나, 현재 구체적으로 결정된 사항은 없다"고 공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