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상진 성남시장 제공=성남시
성남=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성남시는 10일 어르신들의 건강 증진과 여가 활성화를 위해 수정노인종합복지관, 중원노인종합복지관, 분당노인복지관 등 3곳에 실내 스크린 파크골프장을 설치한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이는 어르신들이 실내에서도 안전하고 쾌적하게 파크골프를 즐길 수 있도록 시가 마련한 첫 사례로 시는 최근 총 3곳의 실외 파크골프장을 확충했지만 미세먼지 등 외부 환경에 취약하거나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도 이용할 수 있도록 실내형 시설을 추가로 도입하기로 했다.
스크린 파크골프는 실제 필드와 유사한 환경을 실내에 구현해 날씨에 관계없이 파크골프를 즐길 수 있도록 한 스포츠 시설로 어르신들에게는 신체 활동 증진, 근력 강화, 유연성 향상 등 다양한 건강 효과를 제공하며, 집중력을 요하는 경기 특성상 치매 예방과 인지 기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동료들과 함께 경기를 즐기며 자연스럽게 사회적 교류가 이루어져 정서적 안정과 고립감 해소에도 도움이 되는 스포츠다.
이번 실내 스크린 파크골프장은 올해 하반기 중 시범 설치 및 운영될 예정이며 운영 현황 분석과 어르신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향후 사업 확대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신상진 성남시장은 “실내 스크린 파크골프장은 기후에 영향을 받지 않고 꾸준히 이용할 수 있어 많은 어르신들께 지속적인 운동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어르신들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시, 청년프로예술단 '보컬·댄스' 거리공연 20차례 개최

▲제공=성남시
이와함께 시는 공개 오디션으로 뽑은 보컬·댄스 분야 청년프로예술단(14개 팀·44명)이 오는 15일부터 6월 13일까지 야탑역 광장, 모란민속5일장 등 지역 곳곳을 찾아가 20차례의 거리공연을 열기로 했다.
시민들에겐 일상 속 문화 향유의 기회를, 청년 예술가들에겐 전문 무대로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해 주기 위해 기획한 공연 프로젝트로 첫 공연은 분당구 불정초등학교 대강당에서 개최된다.
청년프로예술단의 보컬 5개 팀이 출연해 '문어의 꿈(동요)', '나의 엑스(X)에게(발라드)', '오래된 노래(발라드)', '밤양갱(재즈풍 알앤드비)' 등 다양한 장르의 노래 공연을 펼치고 댄스 2개 팀도 출연해 한국 팝(K-POP) 메들리 댄스로 무대를 달군다.
관람 대상은 불정초등학교 학생과 학부모, 인근 지역주민 등 300명이며 이후 청년프로예술단 공연 일정은 △18일 분당 야탑역 광장 △20일 수정구 단대근린공원 잔디광장 △5월 4일 성남동 모란민속5일장 등이다.
성남시 관계자는 “2023부터 청년프로예술단을 뽑아 무대 활동 지원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장르 불문 갓 탤런트 예술단(10개 팀·28명)과 합동공연도 개최해 젊은이들이 예술혼을 불사르는 대규모 환상적인 무대를 선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숙 우려' 주거 취약계층 발굴해 제도권 내 지원...잠재적 노숙인 조사

▲성남시노숙인종합지원센터 종사자들이 모란역 인근에 텐트를 치고 생활 중인 노숙인을 지원하려고 대화 시도 중이다 제공=성남시
한편 시는 이날 노숙으로 전락할 우려가 큰 주거 취약계층을 발굴해 제도권 내에서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성남시 노숙인종합지원센터와 협업 체제를 이뤄 연말까지 모란·신흥·서현역 일대 33곳 고시원을 돌며 잠재적 노숙인을 조사·지원한다.
고시원 입실 계약서에 거주지 등이 '빈칸'인 이들과 성남시가 임시 거주지로 연계해 준 이들을 개별 상담해 주민등록 복원, 일자리 등 공공복지 연계, 기초생활수급자로 등록 신청 등을 도와주는 방식이다.
이후 6개월~1년간 지속적으로 생활을 모니터링해 탈 노숙과 사회 재진입을 돕는다.
성남시 관계자는 “노숙인은 우리와 함께 사는 소외된 이웃"이라면서 “노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고시원 거주자 등 위험군을 선제적으로 발굴해 지역사회 안에서 안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말 기준 성남지역을 떠도는 거리 노숙인은 30명, 시설 입소 노숙인은 52명(자활시설 26명, 일시보호 18명, 고시원 임시 주거 8명)이다.
성남시는 노숙인 지원을 위해 응급 잠자리 지원, 자활 작업장 일자리 연계, 종합건강검진, 독서 치유 프로그램 운영 등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