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무디스(Moody's)와 한국신용평가(KIS)는 24일 공동 웨비나를 통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전방위적 관세 정책이 한국 주요 수출 산업에 미칠 구조적 영향을 경고했다.
두 기관은 “반도체, 철강, 자동차 산업 모두 단기적 가격 경쟁력 저하를 넘어, 공급망 재편과 전략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2025년 1월 재집권 이후 '미국 우선주의 무역정책'을 본격화하며, 상호관세 및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고율 관세 부과를 속도감 있게 추진해왔다.
특히 한국은 25% 상호관세 대상국으로 지정됐으며, 현재는 90일간의 유예 조치로 10% 기본 관세만 적용받고 있다. 그러나 이 유예가 오는 7월 9일 종료될 경우, 대미 수출 경쟁력에 본격적인 타격이 가시화될 전망이다.
무디스와 한신평은 산업별 영향도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반도체 산업의 경우, 현재까지는 직접적인 관세 부과가 없지만, 최근 미국 상무부가 개시한 232조 조사 대상에 포함돼 향후 관세 리스크가 상존한다는 점이 강조됐다.
한국신용평가 원종현 실장은 “반도체는 기술 기반 경제의 핵심이자 전략 산업으로,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글로벌 수요 둔화와 메모리 가격 하락이 동반될 수 있다"고 밝혔다.
철강 산업은 이미 정책 영향을 본격적으로 체감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월 기존 철강 쿼터제를 전면 폐지하고, 모든 철강 제품에 25%의 일률적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유정용강관, 송유관 등 한국 철강업체들의 주력 수출 품목이 가격경쟁력을 잃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신용평가 안희준 실장은 “포스코, 세아제강 등은 미국 내 생산 거점이 없어 직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하며, 현대제철은 향후 현지 투자로 방어력을 높일 수 있는 구조"라고 평가했다.
자동차 산업 역시 수입 차량 및 부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가 확정되면서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미국 현지 생산 비중이 높아 일부 방어가 가능하지만, 주요 SUV 수입 모델에는 평균 5천 달러 이상의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분석됐다.
무디스는 “수입 의존도가 높은 차량에 대해선 소비자 반응에 따라 실질 판매량이 줄고 수익성이 저하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산업별 충격이 거시경제 전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도 나왔다.
한국의 2025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2.1%에서 1.5%로 하향 조정되었으며, 이는 G20 국가 중 세 번째로 큰 폭이다.
특히, 수출 중심 구조를 갖는 한국 경제에 관세 리스크는 신용도 측면에서도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무디스와 한신평은 “오는 7월 유예 종료 이후 관세가 본격적으로 현실화될 경우, 기업들의 미국 내 투자 확대, 공급망 다변화, 제품 포트폴리오 조정 등의 전략 전환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정책 대응력 제고를 위한 정부-기업 간 공조가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