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규빈

kevinpark@ekn.kr

박규빈기자 기사모음




조중석號 이스타항공, ‘매출·선수금’ 개선했지만 ‘완전자본잠식’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27 10:54

매출, 2019년 실적 86% 수준까지 회복…영업 재개 효과

자본금, 98억서 -149억…잠식 상태, 장기 재무 관리 필요

이스타항공 737-8 여객기가 인천국제공항 여객 터미널에 서있는 모습. 사진=박규빈 기자

▲이스타항공 737-8 여객기가 인천국제공항 여객 터미널에 서있는 모습. 사진=박규빈 기자

지난해 이스타항공이 재무 구조 개선에 일정 부분 성공했다. 특히 전년 대비 선수금이 급증한 점은 정상 운항이 지속될 경우 매출로 전환될 수 있어 재무상 긍정적 신호로 풀이된다. 다만 자본 잠식이 관찰되는 등 다소 불안정한 재무 상태를 보이고 있어 꾸준한 노력을 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5일 감사 보고서에 따르면 이스타항공은 지난해 매출 4612억원·영업손실 374억원·당기순손실 254억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매출은 214.37% 증가했고,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은 각각 35.18%, 52.73% 감소했다.


앞서 조중석 대표이사(사장)는 2024년 중 적자에서 탈출할 것이라고 공언했지만, 결국 실패했다. 하지만 영업 효율성과 수익성이 다소 회복되며 적자 규모를 대폭 줄이는 데에는 성공했다는 평가다. 특히 매출은 코로나19가 본격 창궐하기 전인 2019년의 83.58% 수준까지 회복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급격히 늘어난 것은 여객 운송 정상화와 영업 재개 효과에 기인한다는 분석이다.


이를 반영하듯 선수금은 365억원에서 814억원으로 전년 대비 2.23배(123.12%) 급증했다. 이와 관련, 부채는 293억원 상당의 전환사채(CB)까지 포함해 1년 새 73.19% 늘어난 2144억원으로 집계됐지만 항공업 특성상 선결제 항공권으로 발생한 선수금 때문인 점이 더 크다는 것을 감안하면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통상 선수금은 기업이 계약 당사자와의 의무를 이행하기 전까지는 부채 계정으로 잡힌다. 하지만 항공업계에서는 운항이 정상적으로 이뤄진다는 것을 전제로 선수금은 매출을 선취한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영업 성과가 좋았다는 의미로도 통한다. 이는 곧 실질적인 현금 유입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아 그 규모가 크면 클수록 재무 안정성에 긍정적이다.




아울러 2023년과 비교하면 자산 총계는 1994억원으로, 리스 개량 자산·꾸준한 기재 도입에 따라 49.30% 늘었다. 단순 금융 자산이 아닌 보잉 737-8과 737-800 여객기와 같이 운항을 위한 실물 자산을 확충한 결과라는 점도 주목할만한 부분이다. VIG 파트너스가 경영에 참여한 이 이스타항공의 보유 기재는 도합 15대로 늘었다.


한편 누적 결손금은 전년보다 4.31% 늘어 6139억원에 이르렀고, 97억원이던 자본 총계는 마이너스(–) 149억원으로 자본 잠식 상태로 돌아선 것으로 파악됐다. 조 대표 체제가 선수금을 포함한 매상은 챙겼지만 자본 측면에서의 부실을 막지 못한 것이다. 결국 전체 성적은 올랐지만 '과락'을 피하지는 못한 모양이 됐다.


아울러 실물 자산 규모가 커진다는 점은 필연적으로 리스 부채도 불어남을 의미해 '양날의 검'과 같은 속성을 지닌다.


현재 여객 수요 회복에 힘입어 항공업계는 대세 상승 기류를 타고 있는 만큼 이스타항공 역시 전성기로의 회복 기조에 진입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관측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여전히 누적된 결손금과 자본 잠식이라는 구조적 리스크를 안고 있는 탓에 외형 성장과 함께 재무 건전성을 제고하기 위한 중장기적 재무 관리 전략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