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
지난 3월 전산업생산이 2개월 연속 증가 흐름을 이어갔다. 서비스업 생산이 감소하고 소매 판매와 투자가 줄어드는 등 내수 부진은 계속됐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 지수는 114.7(2020년=100)로 전달보다 0.9% 증가했다.
전산업생산은 지난 1월 1.6% 감소했으나 2월 1.0% 증가한 데 이어 이달까지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광공업 생산은 제조업(3.2%)을 중심으로 생산이 늘어 전달보다 2.9% 증가했다.
특히 D램과 플래시메모리 등 메모리반도체를 중심으로 반도체 생산이 13.3% 늘었다. 지난 2023년 8월(13.6%) 이후 19개월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의약품(11.8%)과 전자부품(7.8%) 생산도 증가했다. 기계장비(-3.1%), 석유정제(-9.3%) 등 업종은 생산이 줄었다.
건설업 생산은 토목과 건축에서 공사 실적이 모두 줄어 전월보다 2.7% 감소했다. 지난 2월 2.4% 늘면서 7개월 만에 증가했지만 흐름을 이어가지는 못했다.
서비스 소비를 보여주는 서비스업 생산은 전달보다 0.3% 감소했다. 도소매업 생산이 3월 3.5% 줄면서 감소 전환했고 금융·보험(-2.1%), 정보 통신(-2.1%) 등 업종도 생산이 줄었다.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매 판매 지수도 0.3% 감소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8%), 의복 등 준내구재(2.7%)에서 판매가 늘었으나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8.6%)에서 줄었다.
![[그래픽] 산업활동 증감 추이. /사진=연합뉴스](http://www.ekn.kr/mnt/file_m/202504/news-p.v1.20250430.3e1bba077f024338abc0fd1939b06156_P1.png)
▲[그래픽] 산업활동 증감 추이. /사진=연합뉴스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소매판매액 지수는 1.5% 증가했다. 지난 2023년 6월(1.5%) 이후 21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설비투자는 전월보다 0.9% 감소했다. 자동차 등 운송장비(3.4%) 등은 투자가 늘었으나 농업·건설·금속기계 등 기계류(-2.6%)에서 투자가 줄었다.
건설 수주 또한 기계설치 등 토목을 중심으로 줄면서 전년 동월보다 8.7% 감소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3포인트(p) 상승했다. 2월 0.1p 상승한 데 이어 2개월 연속 오름세가 이어졌다.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0.2p 상승하면서 두 달 연속 올랐다.
정부는 3월 산업활동에서 생산이 광공업·공공행정 중심으로 2개월 연속 증가했으나 소비·투자 등 내수 부문은 감소했다고 평가했다. 서비스생산·소매판매·설비투자는 대외 불확실성 따른 경제심리 회복 지연, 2월 큰폭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감소했다고 내다봤다. 건설기성은 과거 과잉투자에 따른 조정이 이어지는 가운데 교량 붕괴 등 일시적 요인이 겹치며 감소했다고 봤다.
기획재정부는 “대미(對美) 협의, 국내 피해기업 지원 등 관세 피해 최소화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라며 “필수추경 국회 통과 시 신속히 추진하고, 건설투자 부진요인을 점검해 근본적 건설투자 활성화 방안도 강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