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최태현

cth@ekn.kr

최태현기자 기사모음




한기평 “롯데손보 콜옵션 지연, 자본확충 없으면 킥스 부담 커져”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5.11 09:00

롯데손보 “콜옵션 행사”…금감원 “킥스 비율 못 맞춰서 불승인”
한기평 “자본 확충되지 않으면 킥스 비율 더 낮아질 것”

후순위 채권 콜옵션 행사를 연기한 롯데손해보험이 자본 확충을 하지 않으면 지급여력비율(킥스, K-ICS) 부담이 커질 것이란 진단이 나왔다.


한국기업평가(이하 한기평)는 8일 보고서에서 “롯데손해보험은 올해 추가로 조기 상환 시점이 다가오는 물량은 없지만, 시장에서 평판 저하로 자본성증권 신규 발행을 통한 자본 확충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미 발행한 자본성증권 중 조기 상환 시점이 다가오는 물량은 2026년 12월 460억원, 2027년 9월 1400억원 등이다.


롯데손해보험 자본성증권 발행 현황

▲롯데손해보험 자본성증권 발행 현황./출처: 한국기업평가

한기평은 “대체 자본확충 수단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 킥스 비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험사의 자산과 부채 가치를 계산할 때 쓰는 할인율 산출기준 제도가 엄격해지고 있고, 2023년 도입된 킥스 규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경과조치도 점진적으로 사라지고 있는 탓이다. 이런 상황에서 킥스 비율을 유지하려면, 자본 확충이 불가피하다.


롯데손해보험은 '채무 상환 후 킥스 비율 150%' 기준을 맞추지 못해 금융당국이 조기상환을 승인하지 않았다. 후순위 채권은 금융감독원 승인을 받은 뒤 조기 상환할 수 있다.


이에 한기평은 롯데손해보험이 콜옵션 행사가 늦어지면서 채권시장 내 신뢰도에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신용평가사 한 관계자는 “후순위 채권을 조달하고 콜옵션 행사를 안 했던 사례는 지금까지 없었다"며 “투자자 입장에선 5년이 지나면 당연히 상환할 거로 생각하고 투자한다"고 말했다.




한기평은 이번 후순위 채권 콜옵션 연기로 보험업권의 자본성 증권 투자 수요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기평은 “2022년 흥국생명이 금리 급등 및 채권시장 수급 악화로 차환에 실패해 콜옵션 행사를 미룬 사례가 있지만, 당국의 승인 거절로 지연된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자금확보 및 유동성 관리, 킥스 등 재무건전성의 안정적 관리가 전제돼야 한다는 점이 재각인됐을 것"이라고 짚었다.


2025년 5월~2026년 12월 콜 시점 도래 보험사 자본성증권.

▲2025년 5월~2026년 12월 콜 시점 도래 보험사 자본성증권./출처: 한국기업평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