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규빈

kevinpark@ekn.kr

박규빈기자 기사모음




[단독] 아시아나화물 품는 에어인천, 새 사명 ‘에어제타’로 상표 등록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16 16:31

특허청에 단독출원…회사 “확정 아니다”에 업계 “결정 뒤 입단속 판단”

간접출자 현대글로비스 의식 ‘글로시아’ 거론에 “법 위반 부적절” 반응

에어인천 직접인수 가능성에 현대측 “적절한 시점 도래 시 결정할 문제”

에어인천이 지난 9일 특허청에 출원한 상표 '에어제타(AIRZETA)'. 사진=특허청 정보 검색 서비스 '키프리스' 캡처

▲에어인천이 지난 9일 특허청에 출원한 상표 '에어제타(AIRZETA)'. 사진=특허청 정보 검색 서비스 '키프리스' 캡처

에어인천이 아시아나항공 화물본부 합병 후 통합 화물항공사로 재출범을 앞두고 새 이름 '에어제타(AIRZETA)'를 특허청에 상표출원했다.


16일 본지 취재 결과, 에어인천은 지난 9일 특허청 정보검색 서비스 키프리스에 '에어제타'라는 상표를 단독 출원한 것으로 확인됐다.


출원 단계에서 지정 상품으로는 △관광·여행용 운송 서비스업 △국제 항공 화물 운송 서비스업 △물류 운송업 △상품 보관·포장·발송 관련 창고업 △상품의 운송·포장업 △승객 운송업 △운송 정보 제공업 △운송 주선업 △항공기 보관업 △화물 보관업 등 종 10종이 명시됐다.


에어제타 상표는 '속도·신뢰·국적성' 을 담아낸 것으로 풀이된다. 이탤릭 계열의 기울어진 산세리프 서체는 항공사가 즐겨 쓰는 '속도감·역동성'을, 짙은 파란색과 빨간색의 상호 컬러 조합은 태극 문양과도 맞닿아 있어 대한민국 기업을 암시한다. 오른쪽에는 수직 미익(꼬리날개)을 변형한 형상을 배치해 항공사 정체성을 드러낸다.


에어제타 상표출원과 관련, 에어인천 관계자는 “아직 확정된 건 아니지만 검토 및 고려 중"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에어인천이) 결정은 했는데 아직 내부적으로는 함구령을 내린 상태인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에어제타 사명은 에어인천의 아시아나항공 화물본부의 기업가치 평가 등 실사작업과 기술 자문역을 담당한 국내 컨설팅기업 룩센츠에서 추천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시아나항공 화물본부를 합병한 에어인천은 오는 8월 1일자로 '통합 에어인천'으로 재출범한다. 새 출범에 맞춰 에어제타 사명을 사용할 지는 미지수이지만 특허청 상표등록을 했다는 점에서 가능성은 높아보인다.


국적 화물 항공사 에어인천 항공기들이 주기돼있는 모습. 사진=에어인천 제공

▲국적 화물 항공사 에어인천 항공기들이 주기돼있는 모습. 사진=에어인천 제공

앞서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인 현대글로비스는 아시아나항공 화물본부를 인수하는 에어인천의 대주주 펀드 '소시어스 한국투자 제1호 기업재무안정 사모투자 합자회사'에 총 2006억원을 출자했다. 에어인천의 지분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 사모펀드로 간접투자한 셈이며, 현대글로비스의 소시어스 한국투자 제1호 PEF 지분율은 45.2%이다.


해당 펀드가 소시어스에비에이션을 100% 지배하고, 소시어스에비에이션이 에어인천 지분 80.3%를 보유하는 구조다.


업계에 따르면, 이같은 지분 구조를 통해 현대글로비스가 에어인천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점에 비춰 새 사명으로 '글로시아'가 언급된 것으로 알려졌다.


에어인천이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예비사명 선호도 조사에서 5~6개 후보 가운 '글로시아'가 1위를 차지했기 때문이다. 이는 주요 투자자 명단에 오른 현대글로비스에 향후 인수되길 희망한다는 점이 반영된 것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그러나, 유사한 사명 때문에 정작 현대글로비스 내부에서 '글로시아'가 사명으로 부적절하다는 반응을 보이며 난색을 드러낸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현대글로비스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며 선을 긋는 모양새다. 현대글로비스 관계자는 “펀드에 투자했을뿐 에어인천에 실질적인 경영권도 없다. 현 상태로 경영 참여 시 자본시장법 위반에 해당하는 만큼 새 사명에 대한 입장도 정해진 게 없다"고 개입 가능성을 일축했다.


또한, 통합 에어인천 인수 가능성에도 “적절한 시점이 도래했을 때 항공물류시장의 상황과 에어인천 자체의 경쟁력 등 가치가 있는 지 다방면으로 검토한 뒤 결정할 예정"이라며 현 단계에서 고려할 사안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에어인천 관계자 역시 “사명 변경에 현대글로비스가 개입할 수 없는 구조"라고 거들었다.


한편 에어인천은 오는 30일 주주배정 방식으로 총 8200억원 수준의 유상증자 청약에 돌입한다. 신주 발행가는 주당 1만원이고, 발행주식 총수는 8200만 주다.


회사는 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부 인수대금 4700억원을 포함해 합병 교부금과 IT시스템, 인수 후 통합(PMI) 및 항공기 교체, 필수·추가 운전자금 등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