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장하은

lamen910@ekn.kr

장하은기자 기사모음




하나마이크론 ‘인적분할’ 임총서 승인…위임장 위조 논란 ‘소송전’ 예고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16 10:43

사측 1400건 위임장, 신분증 첨부 단 한건도 없어

주주 “'결의 취소' 중대 사유, 효력 정지 가처분" 예정

“신분증은 필수 서류 아냐…법적 하자 없다, 소송하라"

하나마이크론은 16일 오전 9시,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본사에서 임시주주총회를 개최했다. [사진=장하은 기자]

▲하나마이크론은 16일 오전 9시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본사에서 임시주주총회를 개최했다. [사진=장하은 기자]

하나마이크론의 인적분할 건을 다루는 임시주주총회에서 회사 측의 위임장 위조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소송전으로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1400건에 이르는 위임장 중 신분증 사본이 첨부된 건이 단 하나도 없기 때문이다. 회사 측은 휴대전화번호 등 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개인정보가 있는 경우 신분증 사본은 필수 증빙 자료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반면 소액주주 측은 신분증 사본이 없는 위임장의 경우 위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하나마이크론은 16일 오전 9시,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본사에서 임시주주총회를 개최했다. 이날 오전 9시에 시작된 임총은 이동철 대표의 개회사로 시작됐다.


이 대표의 개회사가 종료된 후 주주행동 플랫폼 액트(ACT) 운영사 컨두잇 이상목 대표를 비롯한 소액주주들의 잇따른 질의와 반발이 이어졌다. 이 대표는 소액주주 측 대리인으로 임총에 참석했다.


쟁점은 사측이 주주들로부터 위임받은 위임장의 위조 가능성 여부였다. 주주총회에서 주주가 직접 참여하지 않고 대리인을 통해 의결권을 행사하려면 위임장이 필요하다. 하나마이크론이 주주로부터 받은 위임장은 총 1400건에 이른다. 그런데 이 중 신분증 사본이 있는 건은 단 하나도 없었다. 또한 인감증명서가 첨부되지 않은 건도 다수 확인됐다.


이에 대해 이상목 대표는 “모든 위임장에 신분증 사본이 없는 경우는 처음 본다. 다수의 분쟁 경험을 가진 변호사들도 본적이 없는 특이한 케이스라고 답한다"며 “이는 주주총회 결의 취소의 중대한 사유가 될 수 있다는 법적 자문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주총이 끝나자 마자 증거보존 신청, 승인 안건 효력 정지 가처분, 더불어 본안 판결시까지 효력정지 가처분과 결의 취소 청구 소송을 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회사 측은 기본적으로 위임장에서 신분증 사본은 필수 서류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절차상의 문제는 전혀 없고, 위조 가능성도 없다는 입장이다.


하나마이크론 측 변호사는 이에 대해 “제 개인의 경우 판례에서 신분증 사본 없이 진행된 건도 다수 경험했다"며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면 소송하라"고 반박했다.


설전이 오가면서도 한 켠에서 진행된 임총에서는 가장 핵심이던 제1호 의안인 분할계획서 승인 건은 무난히 통과됐음을 알렸다. 이상목 대표는 “100여명의 개인투자자를 만나봤지만 이번 분할 안건에 대해 찬성하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었으며, 모두가 분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나마이크론의 발행 주식 총수는 6627만1949주이며, 주주는 총 8만2194명이다. 이 중 상호주식 648만2350주를 제외한 의결권이 있는 주식의 총수는 5978만9599주다. 주주 8만2193명 가운데 이날 임시주총에 출석한 주주는 위임장 제출을 포함해 총 3228명이며, 소유 주식수는 2797만4998주로 전체의 46.8%다.


이날 임총 안건으로 상정된 의안은 △분할계획서 승인 △정관 일부 변경 △이사·감사 선임 등이다.


이 가운데 제1호 의안인 분할계획서 승인 건은 과반인 70%를 넘기며 승인됐다. 해당 건은 총 참석 주식 수 2797만4998주 중 찬성 2082만1991주, 반대 15만2607주로 찬성 비율은 74.4%에 달했다.


이날 임총의 주요 안건이자 핵심 쟁점은 인적분할계획서 승인이었다. 하나마이크론은 반도체 제품 패키징 및 테스트 사업부를 분할해 신설법인 '하나마이크론 주식회사(가칭)'를 세우고, 기존 법인을 지주회사로 전환하는 계획이다.


하나마이크론은 이번 인적분할의 핵심 배경으로 분할대상 사업의 전문성 확보 및 효율화를 제시했다. 지주회사로 전환해 투명하고 건전한 지배구조를 구축함으로써 회사와 전체 주주의 이익을 추진하겠다는 포석이다.


회사는 분할 목적에 대해 “각 사업부문을 전문화해 사업의 특성에 적합한 신속하고 전문적인 의사결정 체계를 확보함으로써 경영 책임성을 높이고 사업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취지"라고 밝혔다. 기존 법인(분할존속회사)은 투자 및 자회사 관리에 집중하고, 신설 법인은 반도체 테스트·패키징 등 핵심 제조사업을 맡는 구조다.


현재 하나의 법인 아래 구성된 반도체 후공정(OSAT), 소재 자회사 하나머티리얼즈, 신규 브랜드 사업 등 서로 다른 성격의 포트폴리오를 분리함으로써 각 사업의 전문성과 성장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이 회사 측 입장이다. 또한 지주사 체제 도입을 통해 자본 효율성을 높이고, 해외 투자 유치 및 글로벌 합작사 설립 등 외부 협력도 한층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소액주주들의 반발은 매우 거세다. 소액주주들은 이번 인적분할이 “겉으로만 인적분할일 뿐 실제로는 대주주에게 유리한 편법 구조"라고 주장한다. 특히 회사가 주장하는 경영 효율화 논리 뒤에, 대주주가 추가 자금 투입 없이 지배력을 확대할 수 있는 장치가 숨겨져 있다고 지적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