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8일 서울 시내의 한 스크린에 '온도 37도'가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지난 5일간 남부지방에 최대 800mm에 가까운 폭우가 쏟아져 18명이 사망 또는 실종하고 4000건이 넘는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이번 주는 초복이자 일요일인 20일부터 덥고 습한 날씨가 이어질 전망이다. 최대전력수요도 치솟을 것으로 예상돼 전력당국이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20일 기상청 단기예보에 따르면 오는 23일까지 전국 최고기온이 35℃(도)에 오르는 등 당분간 무덥고 습한 날씨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초복인 20일은 낮최고 기온이 35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전국에 가끔 구름이 많고 전국 곳곳에 소나기가 내리지만, 무더위를 식히기에는 역부족일 것으로 보인다.
21일에는 전국에 소나기가 예상된다. 예상 강수량은 △경기남부내륙: 5~40mm △강원내륙: 5~40mm △대전.세종.충남내륙, 충북: 5~40mm △전북내륙, 전남동부: 5~40mm 경북북부내륙: 5~40mm 등이다.
낮최고 기온은 △20일 29 ~ 35도 △21일 30 ~ 34도 △22일 29 ~ 35도 △23일 29 ~ 34도로 예상된다.
기상청 중기예보에 따르면 오는 24일부터 29일까지는 전국이 가끔 구름이 끼거나 맑은 날씨가 이어진다. 즉 앞으로는 호우보다는 폭염에 대비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당 기간 동안 전국 최저기온은 23~26도, 최고기온은 30~34도 정도로 더울 예정이다. 이는 평년 최저기온 22~24도, 최고기온 29~33도보다 높은 수치다.
폭우로 잠시 주춤했던 최대전력수요도 다시 크게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4일~18일 동안 폭우 등의 영향으로 냉방수요가 줄면서, 최대전력수요는 7만8825메가와트(MW)~82918MW로 지난 8일 폭염으로 9만5675MW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비교적 낮았다. 9만5675MW는 연도별 역대 최대치를 기준으로 두 번째로 가장 높은 수치다.
오는 21일부터 높은 습도와 함께 폭염이 시작되는 만큼, 올해 최대전력수요 기록이 다시 깨질 가능성이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월 둘째 주 평일 오후 5~6시경 최대전력수요가 9만7800MW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최대전력수요 역대 최고 기록인 9만7115MW를 넘는 수치다.
지난 19일 이재명 정부 초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 임명된 김정관 장관은 첫 행보로 서울 마포구 한국중부발전 서울발전본부를 찾아 호우에 따른 피해 복구 진행 상황과 열대야 대비 상황을 점검하며 안정적 에너지 공급을 당부했다.
한편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남부지방에 폭우가 내리면서 누적 강수량은 경남 산청 793.5mm, 경남 합천 699.0mm, 경남 하동 621.5mm, 전남 광양 617.5mm, 경남 창녕 600mm, 경남 함안 584.5mm, 충남 서산 578.3mm, 전남 담양 552.5mm를 기록했다.
이번 폭우로 86개 시·군·구 9504세대의 1만2921명이 일시대피했고, 아직 3424세대 4638명이 미귀가한 상태다. 이 가운데 4360명은 임시주거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다.
이번 폭우로 전국에서 총 10명이 사망하고 8명이 실종됐다. 시설피해는 공공시설 1920건, 사유시설 2234건으로, 도로침수 730건, 토사유실 168건, 하천시설 붕괴 401건, 건축물 침수 1853건, 농경지 침수 73건 등이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