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임진영

ijy@ekn.kr

임진영기자 기사모음




이재용 미국으로…반도체카드로 관세협상 측면지원하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29 17:04

테슬라 23조 계약 후속 조치

한미 협력 방안 제시 가능성 제기돼

출국하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9일 오후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SGBAC)를 통해 워싱턴으로 출국하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글로벌 비즈니스 협력과 신사업 구상 등을 위해 미국 워싱턴으로 출발했다. 이 회장의 이번 출국이 종점을 향해 치닫고 있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측면 지원 성격을 띌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29일 재계 등에 따르면 이 회장은 이날 오후 3시 50분경 김포공항에 도착해 미국 워싱턴으로 출국했다.


이 회장은 미국 방문 목적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안녕하세요"라고만 답한 후 출국장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이번 방문에서 이 회장은 주요 파트너사와 글로벌 비즈니스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신사업 기회를 모색할 방침이다.


현재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파운드리 공장을 운영 중인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미 현지 반도체 생산 거점을 위해 370억달러(약 54조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고, 내년 가동 개시를 목표로 텍사스주 테일러에 파운드리 공장을 짓고 있다.




또 삼성전자는 전날 테슬라와 22조8000억원 규모로 역대 최대 규모 파운드리 공급 계약을 맺고 내년부터 테일러 공장에서 테슬라의 차세대 AI칩 AI6를 생산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계약이 미국 정부의 반도체 산업부흥 정책 및 투자유치 전략과 맞아떨어지면서 한미 협상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내달 초 발효가 예고된 반도체 품목 관세 역시 이번 삼성전자의 대미 투자 확대 논리를 배경에 두고 완화될 가능성이 없지 않다.


이재용 회장 뿐만 아니라 28일엔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방미길에 올랐다.


김 부회장은 한국이 미국 측에 제안한 조선 산업 협력 프로젝트인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의 구체화 등을 위해 한국 협상단에 합류할 것으로 전해진다.


이처럼 재벌 총수들의 잇딴 미국행이 막바지 한미 관세 협상을 앞두고 지원 사격으로 이어질지 세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