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수현

ysh@ekn.kr

윤수현기자 기사모음




‘테슬라 잭팟’에 날아오른 삼성전자, 공매도도 덩달아 급증…“8만전자 향해 뛴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31 14:17

‘7만전자’ 복귀에 외국인 2조 베팅…증권가 목표가 9만원 육박

공매도 59% 급증에도…삼성전자, 숏세력까지 끌어안은 ‘상승 랠리’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4조 7천억원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연합뉴스

삼성전자가 글로벌 전기차 기업 테슬라와의 대규모 파운드리 장기계약을 따내며 '8만전자' 기대감에 불을 지피고 있다. '삼성 파운드리의 부활'이라는 평가 속에 주가는 이틀 연속 강세를 이어갔고, 공매도 거래도 함께 급증하면서 차익실현과 숏세력 간 힘겨루기가 본격화되는 양상이다.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전자 주가는 장중 7만4000원까지 치솟았다. 앞서 28일에는 전 거래일 대비 6.79% 급등한 7만400원에 마감하며 11개월 만에 '7만전자'에 복귀했고, 29일에도 0.28% 오른 7만600원을 기록했다. 30일에는 2.83%(2000원) 추가 상승하며 7만2600원에 마감, 3거래일 연속 상승 랠리를 펼쳤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들은 28일부터 30일까지 사흘간 약 2조원 규모의 삼성전자 주식을 순매수했다. 28일에만 9897억원어치를 사들였고, 29일 3583억원, 30일에도 8131억원을 추가로 매수하며 상승세에 힘을 실었다.


이처럼 주가가 급등하자 공매도 거래도 덩달아 증가했다. 삼성전자의 공매도 거래대금은 28일 1285억원에서 29일 2042억원으로 약 59% 급증했으며, 30일에도 1771억원을 기록하며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공매도 비중 역시 24일 5.6%에서 29일 7.5%로 뛰며, 1개월 평균치를 크게 웃돌았다.


이는 '호재에 따른 급등 후 조정'을 노리는 숏포지션 세력의 유입으로 해석된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대규모 호재 이후 급등세가 이어지면, 시장에서는 '되돌림'에 베팅하는 세력도 함께 움직인다"며 “특히 기관이나 외국인 중 일부는 공매도를 통해 단기 수익을 노리는 전략을 취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공매도 증가가 반드시 주가 하락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시장에서는 오히려 강한 매수세가 공매도 물량을 모두 소화하면서, 주가가 더 오르는 '숏커버링 랠리(공매도 세력이 손실을 막기 위해 주식을 다시 사들이며 주가가 더 오르는 현상)'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본다.


증권가도 이번 급등이 단기 반등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진단을 내놓고 있다. 특히 테슬라와의 이번 계약은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의 '신뢰 회복'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삼성전자는 2033년 12월까지 총 22조7000억원 규모의 반도체 위탁생산 계약을 테슬라와 체결했으며, 이는 파운드리 연간 매출의 약 17%에 달하는 수준이다.


증권사들은 목표주가를 일제히 상향했다. 대신증권은 삼성전자 목표주가를 7만4000원에서 8만8000원으로, 유진투자증권은 7만2000원에서 8만4000원으로 상향했고, 키움증권은 8만9000원까지 높였다.


시장에서는 이번 수주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테슬라의 자율주행·로봇·우주사업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삼성의 차세대 텍사스 공장이 테슬라 AI6 칩 생산을 전담할 것"이라며 “165억 달러는 최소 금액이며 실제 수요는 더 클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테슬라 수주 건은 삼성 파운드리에 대한 신뢰 회복의 신호탄이자 TSMC의 독점 구조에 균열을 가할 수 있는 충격파"라며 “기업가치 상승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도 “D램 부문은 AMD 등 주요 고객사의 HBM 판매 증가와 일회성 비용 축소로 실적 개선이 예상되고, 파운드리 부문도 가동률 회복과 손익개선 흐름이 명확하다"고 평가했다.


류형근 대신증권 연구원은 “테슬라의 차세대 슈퍼컴퓨터용 칩을 전담한다는 점은 삼성 파운드리 기술력에 대한 의구심을 해소시키는 계기가 됐다"며 “향후 자율주행·우주사업 전반으로 확장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시장 일각에서는 기대만큼이나 '현실 검증'이 중요하다는 신중론도 존재한다. 로이터통신은 “계약 규모의 불확실성, 단독 파트너 리스크, 수율 증명 압박 등이 여전히 존재한다"며 향후 2나노 GAA 공정 안정성과 HBM3E 12hi의 엔비디아 인증 통과 여부 등이 주가 흐름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