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강남 아파트.
7월 가계대출 증가폭이 전월 대비 약 40% 감소했다.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모두 증가폭이 줄며, 지난 6월과 같은 급등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은행권은 풍선효과 가능성 등 변수가 남아있는 만큼 시장 분위기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3일 각 은행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58조9734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4조1386억원(0.6%) 증가했다. 지난 6월 한 달간 6조7536억원(0.9%) 늘어난 것에 비해 38.7%가 줄었다.
가계대출은 올해 6월 정점을 찍은 후 지난달 상승폭이 둔화됐다. 지난 6월 증가폭은 지난해 8월(+9조6259억원)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컸다.
주담대와 신용대출 모두 성장세가 위축됐다. 주담대 잔액은 603조9702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4조5452억원(0.8%) 증가했다. 지난 6월(+5조7634억원)과 비교하면 21.1% 감소했다. 주담대 또한 지난 6월 정점을 찍으며 지난해 9월(+5조9148억원) 이후 가장 큰 증가폭을 기록했다.
신용대출은 감소 전환했다. 지난달 말 기준 잔액은 103조9687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4334억원 줄었다. 지난 6월 1조876억원(1.1%)이 불었는데, 한 달 동안 1조원 이상 늘어난 것은 2021년 7월 이후 처음이다.
이처럼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된 것은 6·27 가계대출 규제와 7월부터 적용된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영향 때문이란 분석이다. 6·27 규제는 주담대 한도 6억원 제한과 신용대출 한도 연 소득 이내 제한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가계대출이 여전히 증가세는 보이고 있지만, 지난 6월 정점을 찍고 상승폭이 주춤한 만큼 앞으로도 현재의 둔화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은행권은 전망한다.
실제 규제 이후 부동산 거래 심리가 위축되며 규제 지역을 중심으로 매매 건수가 줄고 집값 상승도 둔화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2% 상승했으며, 이는 전주(0.16%) 대비 0.04%포인트(p) 낮은 수치다. 특히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와 용산 등 고가 주택 밀집 지역에서 가계대출 신청액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은행권 관계자는 “현재 증가 중인 가계대출도 은행 재원이 아닌 정책대출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며 "규제 시행 전 접수된 주담대 수요가 마무리되는 9월 이후에는 더욱 진정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다만 일부 외곽 지역에서는 풍선효과가 발생할 수 있어 은행권은 긴장감을 늦출 수 없는 분위기다. 서울 도봉구는 7월 넷째 주 아파트 매매가격이 0.04% 올라 전주(0.02%)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강북구(0.03%)와 마포구(0.11%)는 전주 수준을 보였다.
은행권 관계자는 “외곽지역의 집값 상승세는 정책대출 영향이 클 것“이라며 "아직 가계대출이 안정권에 들었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시장 상황을 면밀히 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