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AF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가 오는 7일부터 시행될 예정인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협정을 타결한 한국과의 관계가 훌륭하다고 밝혔다.
3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뉴저지주 베드민스터로 출발하면서 '한국과 정상회담을 언제 하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우리는 한국과 훌륭한 관계를 갖고 있다"고 답했다.
앞서 트럼프는 지난달 30일 한국과 무역 협상 타결을 발표하면서 이재명 대통령이 양자 회담을 위해 2주 내로 백악관을 방문할 것이라고 했다. 또 전날엔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외교장관 회담에서도 정상회담 일정이 조율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각국과 무역협상 결과를 반영해 기존에 발표한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조정한 행정명령에 지난달 31일 서명했다. 이번 행정명령에는 조정된 관세율을 행정명령 서명부터 7일 이후 0시1분부터 적용한다고 명시했다. 이에 따라 8월 7일부터 시행될 전망이다.
이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68개국과 유럽연합(EU) 등 총 69개 경제 주체에 대한 상호관세율이 명시됐다. 69개 경제주체 가운데 관세율 10%는 3개, 15%는 40개국, 15%를 넘는 관세율이 적용되는 경제주체는 26개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15%로 적시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2일에 첨음 발표한 한국의 상호관세율은 25%였다. 미국과 무역협상을 타결한 영국(10%), 베트남(20%), 필리핀(19%), 일본(15%) 등도 앞서 합의된 관세율이 반영됐다.
미국과 무역협상을 타결하지 못한 대만은 20%가 부과되고 인도는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예고한대로 25%의 상호관세가 적용된다. 스위스 관세율은 무려 39%에 달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및 군사장비 수입과 무역장벽 등을 문제 삼아 인도에 25%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에 대해서 “내가 이해하기로 인도는 더 이상 러시아에서 원유를 사지 않을 것이다. 난 그렇게 들었고, 그게 맞는지 아닌지 모르겠지만 그건 좋은 움직임이다"라고 말했다.
다만 이같은 관세 폭탄 소식을 접한 인도 정재계는 물론 국민들 사이에서는 충격, 당혹감과 불안이 확산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이웃국가들은 물론 적대국인 파키스탄(19%)보다 더 높은 관세율을 적용받아 인도로서는 최악의 결과를 맞이한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스위스산 수입품에 39% 관세를 부과키로 결정한 것은 상품수지 불균형 해소에 '성의'를 보이지 않는 스위스 대통령에게 '격노'했기 때문이라는 뒷얘기가 나온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양국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스위스 시간 오후 8시에 전화통화를 했다. 이때는 트럼프 대통령이 설정한 무역합의 시한이 10시간밖에 남지 않은 때였다. 만약 합의가 불발되면 스위스에 31%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스위스 측에서 만족스로운 제안을 내놓지 않자 트럼프 대통령이 대로해 스위스에 대한 관세율을 39%로 끌어올린 것이다.
아울러 새로 적용된 상호관세율을 보면 40%가 넘는 국가는 라오스(40%), 미얀마(40%), 시리아(41%)로 나타났다.
중국, 캐나다, 멕시코는 별도 행정명령을 통해 관세를 부과받고 있어 이번 상호관세 행정명령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멕시코는 향후 90일간 현행대로 25%가 유지되는 반면 캐나다는 지난 1일부터 관세율이 25%에서 35%로 인상됐다.
브라질의 경우 50%가 아닌 10%가 적혔다. 다만 브라질은 트럼프 대통령이 정치적인 이유로 전날 별도 행정명령을 통해 40% 추가 관세를 부과했기 때문에 기존 상호관세 10%와 함께 총 50%를 적용받는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난 브라질 사람들을 사랑한다"면서 “브라질 정부를 운영하는 사람들이 잘못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대통령과 언제든지 대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