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무역협상이 타결된 지난달 31일 오후 경남 거제시 아주동 한화오션 거제 사업장에 건조 중인 선박이 보인다. 연합뉴스
국내 ETF 시장에서 특정 산업에 집중 투자하는 테마형 상품들의 거래가 확대되고 있다. 금리 불확실성과 기업 실적에 대한 경계감이 겹친 최근 증시 상황에서도 조선·방산·2차전지·AI 등 정책 수혜 및 산업 트렌드를 반영한 테마형 ETF에 자금 유입이 지속되고 있다.
4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최근 일주일간 ETF 거래대금 상위권은 대부분 테마형 상품으로 구성됐다. 투자자들이 개별 종목보다는 산업 테마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는 양상이다.
조선 업종에 투자하는 ETF의 거래대금 비중이 높았다. SOL 조선TOP3플러스 ETF는 최근 일주일간 약 2040억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해 전체 ETF 가운데 4위를 차지했다. 이 상품은 현대중공업, 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주요 조선업체로 구성돼 있으며, 글로벌 LNG선 발주 증가와 고부가가치 선박 수요 확대 등 업황 개선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TIGER 조선TOP10 ETF는 같은 기간 1033억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했고, 수익률은 8.48%를 기록했다.
방위산업 관련 ETF의 거래도 활발했다. PLUS K방산 ETF는 일주일간 1238억원 규모가 거래되며 거래대금 순위 7위에 올랐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지역의 무력 충돌 가능성 등 지정학적 이슈가 지속되는 가운데, 국내 방산 기업들의 수출 확대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해당 상품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 LIG넥스원 등으로 구성돼 있다.
2차전지 테마 ETF는 부진한 주가 흐름에도 거래 규모는 유지됐다. KODEX 2차전지산업레버리지는 -10.77%의 수익률을 기록했지만, 거래대금은 401억원으로 집계됐다. TIGER 2차전지TOP10 ETF는 -6.21%의 수익률 속에서도 351억원 가량이 거래됐다. 테슬라와 삼성SDI 등 주요 전기차 기업의 실적 둔화와 메탈 가격 조정이 영향을 미친 가운데, 낙폭 확대에 따른 저점 매수 수요가 일부 반영된 것으로 파악된다.
AI 관련 ETF도 거래대금 상위권에 포함됐다. KODEX AI전력핵심심비 ETF는 최근 662억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거래 상위 1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이 상품은 전력 인프라, AI 반도체 기술, 에너지 효율 관련 기업으로 구성돼 있으며, 정부의 AI 투자 확대 정책과 관련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이외에도 고배당, 반도체 테마 ETF도 일정 수준 이상의 거래를 기록했다. PLUS 고배당주 ETF는 -6.36%의 수익률을 나타냈지만 거래대금은 567억원이었다. TIGER 은행고배당성장TOP10 ETF의 거래대금은 512억원으로 집계됐다. 고배당 ETF는 금리 고점 인식과 배당 수익률 기대에 따라 일부 자금이 유입된 것으로 분석된다. KODEX 반도체 ETF는 338억원의 거래대금을 기록했다.
최근 ETF 시장에서는 개별 종목보다 산업 방향성이나 정책 이슈를 반영한 테마형 상품의 거래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다. 거래대금 상위권 ETF 상당수가 테마형이라는 점에서 투자자들이 개별 기업보다는 산업 전반의 흐름에 주목하고 있는 양상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최근 개인 투자자들은 특정 종목 리스크를 줄이면서도 산업 흐름에 연계된 투자 기회를 찾기 위해 테마형 ETF를 선택하고 있다"며 “정책 수혜, 산업 사이클, 지정학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테마형 ETF에 대한 수요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