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더불어민주당 이소영 의원이 정부의 세제개편안에 대해 날카로운 비판을 이어가며, 당내 정책 정치를 이끄는 대표 인물로 주목받고 있다. 기후·에너지 전문가 출신이라는 이력을 바탕으로, 여야를 가리지 않는 정책 비판과 대안 제시를 통해 이 의원의 존재감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특히 증세와 전기요금 등의 분야에서 민주당의 정책 방향과 반대되는 주장도 아끼지 않는 점에서 업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최근 정부가 추진 중인 2025년 세제개편안에 대해 이 의원은, 대주주 양도소득세 과세 기준을 현행 50억 원에서 10억 원으로 하향하는 조치에 대해 강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그는 “서울 아파트 평균 가격에도 못 미치는 주식 10억 원 보유자를 대주주로 간주하는 것은 비상식적이며, 자본시장 활성화라는 정책 방향과도 정면으로 배치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해당 조치가 연말 세금 회피 매물 증가, 세수 감소, 시장 신뢰 저하 등 부작용을 초래할 것이라며 정책 설계의 기본이 결여돼 있다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결국 대주주 기준을 현행대로 유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 의원의 존재감은 자당인 민주당의 정책에 대해 일관된 쓴소리를 이어오고 있다는 점에서 돋보인다는 평가가 나온다.
과거 KBS 정치토론 프로그램에서 그는 “민주당이 재생에너지 확대를 추진하면서도 전기요금 인상이라는 불편한 진실은 외면했다"고 공개 비판하며, “에너지 전환에는 반드시 사회적 비용이 수반되며, 이를 솔직하게 설득하지 않으면 정책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
당내 이같은 지적이 이어지자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후보 시절 전기요금 정책과 관련, “경제 상황이 너무 나빠 당장 손대기는 어렵지만 장기적으로 올릴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고 발언하기도 했다.
이 같은 일관된 정책 비판과 실용적 관점 덕분에, 이소영 의원은 최근 신설이 유력한 '기후에너지부' 초대 장관 후보군으로도 거론된 바 있다.
비록 1차 내각 인선에서는 김성환 전 민주당 의원이 환경부 장관에 임명되었지만, 차기 개각 또는 후속 인선에서 이 의원이 기후에너지 정책을 총괄할 책임자로 낙점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이 의원은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으로, 에너지 전환·탄소중립·전기요금 개편 등 핵심 이슈에 대해 지속적으로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해 왔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정파적 진영 논리에 갇히지 않고 정책의 실효성과 실행력을 우선시하는 정치인"이라는 평가와 함께, “민주당이 정책정당으로 거듭나기 위한 내부 쇄신의 상징적 인물"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정쟁보다 실질을, 명분보다 실행을 중시하는 그의 목소리가 지금 민주당에 필요한 가장 현실적인 조언이라는 점에서, 이소영 의원의 존재감은 앞으로도 더욱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