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주주 과세·상법 처리' 정책 불확실성 최상단
美금리 인하 기대 약화…투자 관망 심리 확산
관세 리스크 재부각…철강·기계·반도체 부담 ↑
![코스피가 최근 사흘연속 하락하며 지난 20일 3130.09에 마감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ekn.kr/mnt/file_m/202508/news-p.v1.20250821.c13f61fc38754f2590d4a38f8eca2f12_P1.jpg)
▲코스피가 최근 사흘연속 하락하며 지난 20일 3130.09에 마감했다. [사진=연합뉴스]
코스피가 최근 사흘 연속 하락했다. 지수 낙폭은 단순한 기술적 조정이 아니라 정책·대외 변수의 복합 충격이 동시에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국내 정책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 미국 금리 인하 기대 약화와 품목별 관세 부담이 겹치면서 '트리플 쇼크'가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당분간 눈치보기 장세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코스피는 3130.09에 마감됐다. 이는 지난 14일 종가 3225.66 대비 2.96% 낮은 수준이다. 지수는 장중 3100선 밑으로 하락했으나, 장 마감 직전 매수세가 유입되며 가까스로 3100을 지켜냈다. 최근 3거래일 동안 지수 하락폭은 약 3%에 달한다. 이날도 코스피는 3150선 안팎을 오가고 있다.
시장을 짓누르는 요인으로 국내 정치·정책의 불확실성이 꼽힌다. 대주주 양도소득세 기준 조정 논의는 여전히 결론이 불투명하다. 현 정부 초반부터 완화 기대가 제기됐으나 구체안은 제시되지 않았고, 이는 대형 투자자들의 심리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더불어 '노란봉투법' 개정안, 2차 상법 개정안 처리 일정 등도 증시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
정책 불확실성에 더해 미국의 금리 경로가 시장을 흔들고 있다. 7월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대비 3.3% 상승해 시장 예상치(2.5%)를 상회했다.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이션도 4.9%로 반등하며, 9월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기대를 크게 후퇴시켰다. 불과 지난주까지만 해도 선물시장에서 금리 인하 확률이 100%에 근접했으나, 최근 83% 수준으로 낮아졌다.
이 과정에서 비둘기파로 분류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시카고 연방은행 오스탄 굴스비 총재마저 '서비스 물가의 상승세'를 지적하며 신중론을 제기했다. 시장은 21일(현지시간) 열리는 잭슨홀 미팅에서 제롬 파월 의장이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발언 강도에 따라 단기 금융시장의 등락 폭은 더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관세 리스크 역시 악재로 부각됐다. 미국 행정부가 철강, 건설기계, 반도체 등을 대상으로 한 품목별 관세 조정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관련 업종 주가가 동반 하락했다. 특히 수출 비중이 높은 업종일수록 부담이 크다는 평가다. 실제 외국인들은 코스피가 3200선을 이탈한 지난 18일 5415억원을 순매도하며 증시 하락 압력을 가중시켰다.
증권가에서는 현금 비중을 일정 수준 유지하면서, 과도하게 하락한 업종은 분할 매수를 통해 대응하는 전략이 유효하다고 진단한다. 업종별로는 LNG 수주 증가가 기대되는 조선, 지정학적 긴장 수혜를 받는 방산, AI와 연계한 원전 등이 여전히 중장기 매력을 유지한다는 평가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당분간 특별한 악재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다수의 불확실한 이벤트를 앞두고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할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잭슨홀 미팅뿐 아니라 이달 2차 상법개정안 등 주요 법안이 논의될 수 있으며, 정부의 대주주 양도세 발표, 한일 정상회담, 한미 정상회담 등 외교 이벤트 역시 시장 참여자들의 관망 심리를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코스피가 단기적으로 3100선을 밑돌 수 있다는 경고도 존재하지만, 3000선은 밸류에이션 매력이 높은 구간으로 방어력 확보가 가능하다는 시각도 나온다. 정부가 'KOSPI 5000 특별위원회'까지 가동하며 증시 활성화 의지를 드러내고 있는 만큼, 하락 시 정책 대응이 뒤따를 것이란 기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