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연 2.5%로 유지하며 두 달 연속 동결 결정을 내렸다.
한국은행이 지난 28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으나, 보험업계의 자본여력 걱정은 가라앉지 않는 모양새다. 금융당국의 새로운 규제가 다가오고 금리 인하 기조도 이어지는 까닭에 기업들은 다양한 솔루션을 검토하고 있다.
자본성증권에 쏠린 보험사들의 해법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준금리는 오는 10월과 내년 상반기에 1~2차례 인하될 전망이다. 이번에는 집값 안정을 이유로 동결을 선택했으나, 경기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그간 금리 인하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내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목소리가 바뀌면서 한은도 하방 압력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기준금리가 낮아지면 대다수 보험사들의 건전성은 악영향을 받는다. 자산과 부채를 시장금리로 평가하는 IFRS17 특성상 보험부채의 현재가치가 불어나기 때문이다. 요구자본이 늘어나면서 신지급여력제도(K-ICS·킥스) 비율도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3.50% 수준이었던 금리가 지난해 11월 3.00%, 지난 4월 2.75%로 떨어지는 과정에서 보험사들의 킥스 평균이 제도 시행 이후 처음으로 200%를 하회(1분기 197.9%)했다. 보험사 53곳의 총자본(약 141조원)도 전년 동기 대비 0.8% 감소했다.
기업들은 이를 만회하기 위해 후순위채를 비롯한 자본성증권을 대거 동원했다.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되는 특성을 활용해 건전성 지표를 끌어올리려는 목적이었다. 올 상반기에도 8조3000억원을 발행하는 등 이미 지난해(8조6550억원)의 90%를 넘어섰다. 3600억원만 더 발행하면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한다.

▲보험업계가 자본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고민을 거듭하고 있다.
향후 발행 규모에 대해서는 엇갈린 견해가 나오고 있다. 올 하반기 보험사들이 대규모 발행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측은 당국이 '자본의 질'을 언급하며 기본자본 기준 킥스를 도입하는 것을 이유로 들고 있다. 업황 부진 속에서 채권 발행에 따른 이자부담을 늘리는 것도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
DB손해보험이 추진 중인 747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 발행은 스텝업 조항 삭제 등의 조건을 충족하고 기업의 이자지급능력이 높은 덕분에 일정 부분 기본자본으로 인정되지만, 신용평가사 등에 따르면 같은 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기업은 많지 않다.
설용진 SK증권 연구위원은 “IFRS17 전환 시점에 경과조치에 따라 기본자본으로 인정된 기발행 신종자본증권의 콜옵션 시점이 도래하고 있지만, 해약환급금준비금 등 영향으로 현재 일부 대형사를 제외하면 배당가능이익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는 만큼 기본자본으로 인정되는 자본성증권 발행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사옥 등 부동산 매각·유상증자 비롯한 솔루션 활용
푸본현대생명은 연말에 모기업(대만 푸본그룹)으로부터 7000억원의 자금수혈을 받을 예정이다. 순손실 규모가 줄어드는 추세지만 이익은 내지 못하면서 경과조치 전 킥스 비율도 플러스 전환을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상증자는 자본을 빠르게 확충할 수 있으나, 주주들의 반발을 비롯한 단점이 있다.
동양생명이 종로사옥을 비롯한 전국 9개 지점 부동산 자산 매각을 추진하는 등 기업들이 자산 효율화에 나서는 것도 이 때문으로 보인다. 부동산 위험계수가 과거 보다 높게 반영되는 신제도하에서는 보유시 요구자본이 불어난다는 논리다.
흥국생명은 흥국리츠운용을 대상으로 세일 앤 리스백에 나선다. 임대료가 발생하지만, 사옥 매각으로 확보한 7000억원의 대금으로 자산운용 능력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대응한다는 것이다. 한화생명도 드림플러스 역삼동 사옥을 매각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앞으로도 신종자본증권의 발행이 이뤄질 것이라는 반론이 맞선다. 당국이 킥스 권고비율을 150%에서 130%로 낮췄지만 이를 달성하기 어려운 기업이 많기 때문이다. 경과조치 전 기준으로는 대형 생·손보사 중에서도 150% 안팎인 곳들이 있다. 손해율 증가, 금리 인하 등의 악재를 고려하면 여력이 충분치 않다는 의미다.
설 연구위원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급격히 증가한 보험사의 자본성증권 발행 규모가 올 2분기부터 이전보다 둔화된 모습이 나타났다"면서도 “일부 우량한 회사를 제외하면 낮아진 권고 기준 달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일정 수준의 발행 수요가 지속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