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가 내리는 4일 오전 광화문네거리를 지나는 시민들이 우산을 쓰고 걸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4일 강원 영동에 비가 내렸지만, 정작 가뭄이 심한 강릉지역에는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았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중부지방 북쪽으로 기압골이 지나가면서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비가 내렸다.
이날 오후 1시 현재 속초에는 18.8㎜의 강수량을 기록했지만, 강릉에는 2.1㎜의 비가 내리는 데 그쳤다. 특히 강원 남부의 삼척에는 1시간 강수량이 40㎜를 웃돌며 호우경보가 발령되기도 했다.
비구름이 유독 가뭄이 심한 강릉만 비껴간 셈이다. 강릉에서는 주말에도 비를 기대하기 어렵다.

강릉만 비껴가는 비
▲4일 오후 1시 35분까지 누적 강수량(㎜) (자료: 기상청)
기상청은 “주말인 6∼7일에도 전국적으로 비가 오겠으나 강원 영동에는 강수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예보했다.
토요일인 6일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가 남해상에 이른 가운데 우리나라 북쪽으로 저기압이 지나면서 고온다습한 공기가 유입되겠고, 오전에 중서부부터 비가 산발적으로 내릴 전망이다.
본격적인 비는 6일 밤 중서부지방부터 시작되겠고, 전국적으로 비가 확산한 후 7일 오후 중부지방부터 점차 그칠 것으로 기상청은 예상했다.
특히, 호남지역에서는 시간당 30∼50㎜의 강한 비가 내리는 곳도 있겠다.
한편, 환경부는 영남권 식수원인 안동댐과 임하댐의 가뭄단계가 '주의'로 격상됨에 따라 용수 비축 대책을 시행한다고 4일 밝혔다. 안동댐과 임하댐 같은 다목적댐 가뭄단계는 '관심', '주의', '경계', '심각' 4단계로 구분된다.
안동댐과 임하댐은 도수로로 연결돼 하나의 댐처럼 운영되는데. 두 댐의 저수량은 4일 기준 8억5590만톤으로 예년 이맘때의 85% 수준이다.
올해 들어 지난 3일까지 안동댐 유역에는 예년 강수량(861㎜)의 71% 수준인 610㎜의 비만 내렸다. 홍수기 시작 이후 강수량은 293㎜로 예년 같은 기간 강수량(551㎜)의 절반에 머물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