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은정 공주대학교 국제학부 교수가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북극항로와 자원안보에 미치는 영향' 세미나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 송기우 기자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참여의 강점은 부산·여수·광양·울산·포항 등 남동부권을 북극항로와 연계해 아시아 에너지 허브로 도약시킬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임은정 공주대학교 국제학부 교수는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이언주·문대림 국회의원 주최, 에너지경제신문사·한국석유공사·한국지질자원연구원·한국해양진흥공사 주관, 해양수산부 후원으로 열린 '북극항로와 자원안보에 미치는 영향 세미나'에서 '북극항로가 에너지 산업에 주는 영향과 한국의 준비'를 주제로 발표했다.
임 교수는 알래스카 LNG 개발 참여가 가져올 기회로, 북극항로와 연계한 부산~울산~여수·광양~포항 등 남동부권 에너지 허브 비전과 북극 시대에 대비한 지정학적 거점 확보를 제시했다
알래스카 LNG 개발은 미국이 알래스카주의 천연가스를 개발 및 생산해 하루 평균 약 35억 입방피트(Bcf)의 가스를 내륙에 공급하고 아시아로 수출하겠다는 구상으로, 동아시아를 핵심 시장으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알래스카는 미국 본토보다 동아시아 주요국과의 거리가 더 가깝기 때문이다.
다만, 임 교수는 알래스카 LNG 관련 인프라가 아직 완성되지 않았고, 총 440억달러 이상 투자 규모에 따른 건설 지연·비용 상승 우려가 있다고 짚었다.
임 교수는 최근 에너지 지정학 상황에 대해선 “우크라이나 전쟁을 기점으로 'Heartland(러시아·중국·인도)'와 'Rimland(미국·유럽·아시아 동맹국)'의 대립 구도로 뚜렷해졌다"며 “러시아는 유럽 시장 내 입지가 약화되며 중국·인도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미국은 셰일가스를 바탕으로 LNG 수출을 확대해 지난 2023년 세계 최대 수출국으로 올라섰다. 유럽은 러시아 의존에서 벗어나 미국·카타르 등으로 공급원을 다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알래스카주 LNG 프로젝트 개요도. 자료=임은정 공주대 교수
임 교수는 에너지 지정학이 변하는 가운데 기후변화와 기술 발전으로 북극항로의 상업·군사적 이용 가능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국제수역인 중앙 북극해(CAO)를 관통하는 극지횡단항로가 열릴 경우 수에즈 경유 대비 항로가 30~40% 짧아지고, 러시아 연안(NSR) 대비로도 약 15% 단축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북극은 경제·군사·법적 경쟁이 교차하는 전략 공간으로 부상했다"며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서방 대립이 격화되고, 중국의 북극 참여가 확대된 점이 변곡점"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인프라 부족, 혹독한 자연 조건으로 인한 제약, 보험 비용, 항해 위험 등이 여전히 제약"이라고 덧붙엿다.
임 교수는 우리나라가 조선·LNG 운송·항만 인프라를 '패키지'로 수출해 산업 기회를 극대화하고 러시아와의 경제협력을 전면 포기하지 않되 안보는 미국 및 유사 입장국과 공조하는 '투트랙' 접근을 취할 것을 제안했다.
아울러 북극항로 연계를 통해 남동부권을 아시아 에너지 허브로 육성하며 알래스카 LNG는 채산성뿐 아니라 장기 전략 관점에서 검토해 에너지 수급 안정과 유관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함께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