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지난해 포스코퓨처엠 천연음극재공장 현장을 방문한 모습. 포스코그룹
포스코그룹의 2차전지 소재 계열사 포스코퓨처엠이 글로벌 완성차사와 약 6710억원 규모의 천연흑연 음극재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회사 창립 이후 역대 최대 규모 수주로, 오는 2027년부터 4년간 제품을 공급한다. 미·중 간 핵심 광물 공급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탈(脫)중국 공급망을 구축 중인 포스코퓨처엠이 본격적인 수혜를 입기 시작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14일 포스코퓨처엠은 글로벌 자동차사와 이차전지용 천연흑연 음극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계약 상대방은 경영상 비밀유지 조항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으나 새로운 글로벌 완성차 고객으로 알려졌다. 계약 기간은 2027년 10월부터 2031년 9월까지 4년이며, 상호 협의에 따라 연장 가능한 조건이 포함됐다. 계약 관련 공시 유보 기한이 2037년으로 설정된 만큼, 최장 10년까지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포스코퓨처엠은 2011년 음극재 사업에 진출한 이후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3사에 제품을 공급해왔으며, 올해 7월에는 일본 배터리사와도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글로벌 공급망을 빠르게 넓히고 있다.
현재 세계 음극재 시장은 중국이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출하량 기준 상위 10개 업체가 모두 중국 기업이며, 이들의 시장 점유율 합계는 80%를 상회한다. 중국은 자국 내 천연흑연을 직접 채굴해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을 장악해왔다.
하지만 미국이 중국산 음극재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이 이차전지 및 소재를 수출 통제 품목에 추가하면서 공급망 재편이 불가피해졌다. 이에 따라 △테슬라 △GM △포드 등 미국 완성차사는 물론, 미국 내 공장을 둔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일본 파나소닉 등도 중국산 소재 의존도를 줄여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포스코그룹은 이에 대응해 원료부터 중간재, 완제품까지 중국을 배제한 독립 공급망 체계를 구축 중이다. 아프리카에서 채굴한 천연흑연을 전북 새만금 산업단지의 구형흑연 가공공장에서 중간재로 가공하고, 이를 세종 공장으로 옮겨 음극재로 완성하는 구조다. 새만금 공장은 2027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미 호주 광산업체를 통해 아프리카 모잠비크 광산에서 채굴되는 천연흑연의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이번 완성차사 공급 물량은 해당 원료를 기반으로 생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퓨처엠은 그간 중국산 대비 40~50% 높은 단가로 인해 가격 경쟁에서 불리했지만,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본격화하면서 '탈중국 음극재'에 대한 선제 수요(입도선매)가 확대되는 양상이다. 세종 공장의 가동률은 2022년 67%에서 올해 상반기 30%대로 하락했으나, 이번 대형 수주를 계기로 가동률 회복과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