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기우

kwsong@ekn.kr

송기우기자 기사모음




한양대 ERICA 영상디자인학과, ‘설화수 컬처프로젝트 2기’ 최종 선정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0.27 15:29

전통과 현대를 잇는 창의적 재해석… ‘백수백복도’ 모티프의 영상 작품 ‘복가도(BOKGADO)’ 공개

백수백복도의 '복(福)' 문양을 현대적 시각언어로 재해석한 디지털 패널이 책가도(冊架圖)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진=한양대 박경민 학생)

▲백수백복도의 '복(福)' 문양을 현대적 시각언어로 재해석한 디지털 패널이 책가도(冊架圖)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진=한양대 박경민)

한양대학교 ERICA 디자인대학 영상디자인학과(학과장 노승관)가 아모레퍼시픽이 주최한 '설화수 컬처프로젝트 2기'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며 주목받고 있다.지난 5월 22일 진행된 최종 선정 결과, 영상디자인학과 박경민·최하연 학생으로 구성된 팀 '다올(Da-All)'이 최종 전시 기회를 얻은 4개 팀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설화수 컬처프로젝트'는 한국 전통문화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해 시대에 맞는 방식으로 전통의 아름다움을 전하는 대학생 문화 창작 프로그램이다. '우리가 직접 만들고 알려나가는 한국의 문화'를 주제로 매년 새로운 소재를 탐구하며 젊은 세대의 시선으로 전통예술의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다.


2025년 시즌 2의 주제는 '민화(民畵)'였다. 이에 팀 '다올'은 '백수백복도(百壽百福圖)' 속 '복(福)'의 상징을 현대 시각언어로 풀어낸 작품 <복가도(BOKGADO)>를 출품했다. '하는 일마다 복이 온다'는 의미를 지닌 이 작품은 붓 드로잉, 재료 실험, 디지털 드로잉, 타이포그래피, 그리고 생성형 AI 영상 기법을 결합하여 총 100개의 '복(福)'을 시각화한 실험적 결과물이다.


<복가도(BOKGADO)>는 완성된 영상이 책가도(冊架圖) 형식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어 가로 300cm, 세로 180cm 규모의 오브제로 확장됐다. 전통 회화의 형식미를 현대적 미디어 구조로 재구성한 이 작품은 '복(福)'이라는 상징이 지닌 생명력과 에너지를 다양한 매체와 빛의 조형으로 표현하며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붓 드로잉에서 AI 생성 영상으로 이어지는 매체적 변주를 통해 전통이 지닌 지속성과 변화를 동시대적으로 재해석했다는 점에서 예술성과 기술성을 모두 인정받았다.


이번 전시는 2025년 9월 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북촌 '설화수의 집'에서 개최되었다. 현장을 찾은 관람객과 업계 관계자들은 “전통과 현대의 경계를 넘나드는 시각적 실험"이라는 호평을 보냈으며, 전통예술을 새로운 매체 언어로 번역한 작품성에 주목했다.




팀 다올(Da-All). (좌측부터) 한양대 ERICA 최하연, 서울대 김유진, 한양대 ERICA 박경민, 서울대 박주찬 학생. (사진=아모레퍼시픽)

▲팀 다올(Da-All). (좌측부터) 한양대 ERICA 최하연, 서울대 김유진, 한양대 ERICA 박경민, 서울대 박주찬 학생. (사진=아모레퍼시픽)

한양대 ERICA 영상디자인학과 최지원 교수는 “〈복가도〉는 전통적 미감과 현대적 기술을 조화롭게 결합한 사례로, 학생들이 디자인의 본질적 가치를 깊이 탐구했다"며“이는 영상디자인학과가 지향하는 교육 방향, 즉 예술적 감성과 기술적 창의성을 융합한 디자인 교육의 좋은 성과"라고 평가했다.


한양대 ERICA 영상디자인학과는 예술과 기술의 융합을 기반으로 새로운 미디어와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교육과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학과는 앞으로도 인터랙티브 미디어, 모션그래픽, 애니메이션, 게임디자인 등 다양한 시각미디어 영역에서 전문성과 창의성을 겸비한 디자이너를 양성하며, 사회와 예술을 연결하는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허브'로의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