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최태원, ‘조직쇄신·세대교체’ 변화 선택했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0.30 10:50

SK그룹 2026년 계열사 사장단 조기인사 단행
SK온 이용욱·SKC 김종우·SK에코플랜트 김영식
유심 해킹 SKT 수장 교체…정재헌 새사장 선임
수펙스 담당 이형희 부회장 승진, 윤풍영 새사장
“현장형 리더·차세대 인물로 리밸런싱·성장 집중”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강동수 SK(주) 신임 사장, 정재헌 SK텔레콤 신임 사장, 김영식 SK에코플랜트 신임 사장. 김정규 SK스퀘어 신임 사장,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강동수 SK(주) 신임 사장, 정재헌 SK텔레콤 신임 사장, 김영식 SK에코플랜트 신임 사장. 김정규 SK스퀘어 신임 사장,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조직쇄신'과 '세대교체'를 동시에 추구하는 방향으로 조기 사장단 인사를 단행했다.


재무구조 개선을 통한 그룹 리밸런싱 작업이 막바지에 이르렀고 각 계열사간 경영이 정상 궤도에 오른 만큼 한차원 더 높은 성장을 위해 '혁신 인사' 결단을 내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SK그룹은 30일 임시 수펙스추구협의회를 열고 사별 이사회를 통해 결정된 2026년 사장단 인사 사항을 공유했다.


이번 인사는 '현장형 리더' 중용과 '차세대 인물' 발탁 두 가지 축으로 요약된다.


지주회사인 SK㈜에서는 재무 및 사업개발 전문가인 강동수 PM부문장이 사장으로 승진해 운영 전반을 총괄하고 장용호 대표(사장)를 보좌하게 된다. 강 부문장은 SK㈜의 사업체질과 재무구조를 강화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해킹 사태'를 겪은 SK텔레콤(SKT)은 수장 교체라는 승부수를 띄웠다. 정재헌 최고거버넌스책임자(CGO, 사장)가 앞으로 SKT호를 이끌게 된다. 정 사장은 회사 준법경영 역량을 높이고 지배구조 고도화 작업에 최적화된 인물이라고 알려졌다.


유영상 현 SK텔레콤 사장은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인공지능(AI)위원회 위원장으로 간다. 그룹 AI 확산에 전념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내부 조직개편도 단행한다. 경쟁력 강화를 위해 회사를 통신 사내회사(CIC)와 AI CIC 체계로 재편하는 게 골자다. 통신 CIC장에는 한명진 SK스퀘어 대표를 보임한다.


SK온은 이용욱 SK실트론 대표를 사장으로 선임한다. 소재와 제조업 전문성이 높은 인물인만큼 이석희 사장과 함께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에서다.


SKC는 자회사 SK엔펄스를 이끌고 있는 김종우 대표를 사장으로 선임한다. 회사의 안정적 사업 운영과 미래 성장 기반 확보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SK에코플랜트는 장동현 부회장과 함께 사업을 이끌어 갈 신임 사장으로 김영식 SK하이닉스 양산총괄을 선임했다. 반도체 소재 등 회사의 성장 사업 실행력 높이고 SK하이닉스의 성공 DNA를 SK에코플랜트에 이식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SK㈜ 머티리얼즈 CIC를 맡고 있는 송창록 대표는 사장으로 승진해 첨단 소재 사업을 지속적으로 이끈다.


SK그룹 본사 전경.

▲SK그룹 본사 전경.

차세대 리더들의 도약도 돋보인다.


SK이노베이션 E&S는 현장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갖춘 이종수 액화천연가스(LNG)사업본부장을 사장으로 선임했다. 안정적 경영 기반을 강화함과 동시에 에너지설루션 등 새로운 성장을 모색하기 위해서다.


SK스퀘어는 김정규 SK㈜ 비서실장을 신임 사장으로 선임했다. SK AX는 김완종 부사장을 신임 사장으로 선임했다. SK하이닉스에서는 차선용 미래기술연구원장이 사장으로 영전했다.


SK실트론은 정광진 자회사 SK실트론CSS 대표를, SK브로드밴드는 김성수 유선·미디어사업부장을 각각 신임 사장으로 임명했다.


SK그룹 최고 협의기구인 수펙스추구협의회도 분위기를 바꾼다. 이형희 커뮤니케이션위원장은 부회장으로 승진, 멤버사 및 수펙스추구협의회에서의 풍부한 경험을 살려 SK㈜ 부회장단에서 활동할 예정이다. 윤풍영 SK AX 대표는 수펙스추구협의회 담당 사장으로 자리를 옮긴다.


커뮤니케이션위원장에는 염성진 CR팀장이 사장으로 승진·보임됐다. 염 신임 위원장은 그룹 대외협력 기능을 총괄하며 그룹의 전반적인 대외협력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SK그룹 관계자는 “이번 인사는 불확실한 경영 환경 속에서 각 계열사가 직면한 현안을 빠르게 해결하고 차세대 리더 보임을 통해 그룹 경영 후보군을 탄탄히 함과 동시에 현장과 실행 중심의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이를 통해 앞으로 그룹 전반의 경쟁력과 조직 역동성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