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가 7일 미국발 인공지능(AI) 거품론 재점화와 원화 약세에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하락해 종가 기준 4000선을 내줬다. 코스닥 지수도 870선까지 밀렸다.
▲코스피ㆍ코스닥 하락 마감/연합뉴스
미국발 악재 겹치며 코스피 하락 마감
▲7일 코스피시장 현황. 보라색, 주황색, 하늘색 선은 각각 개인, 외국인, 기관 투자자 매매 동향/출처=네이버증권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3953.76으로 장을 마쳤다. 전날보다 72.69포인트(1.81%) 내렸다. 코스피 지수가 4000선을 내준 것은 지난달 24일(종가 기준 3941.59) 이후 10거래일 만이다.
코스피 지수는 이날 3963.72로 출발해 4037.61로 반등했지만, 오전 내내 내림세가 이어졌다. 한때 3900선마저 내주기도 했지만, 이후 낙폭은 일부 축소됐다.
코스피시장에서 외국인이 4790억원 순매도하며 5거래일 연속 '팔자'를 나타냈으며, 기관도 2281억원 순매도했다. 개인은 6958억원 매수 우위였다. 외국인은 코스피200 선물시장에서도 89억원 순매도했다.
이날 국내 증시는 AI 투자 거품 논란 재점화, 미국 일자리 급감 소식, 연방준비제도의 매파적 발언(통화 긴축 선호) 등에 간밤 뉴욕증시가 급락하면서 하방 압력을 받았다. 6일 뉴욕 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0.8% 하락했고, S&P500과 나스닥지수도 각각 1.1%, 1.9% 떨어졌다.
특히 엔비디아(-3.7%), 팰런티어(-6.8%), AMD(-7.3%) 등 주요 AI 관련 종목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국내 반도체주에 대한 투자심리도 덩달아 위축됐다.
아울러 이날 오전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의 최신 AI 칩 수정 버전의 중국 수출을 제한한 조치를 내놓으면서 지수는 낙폭을 더욱 키웠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전날 미국 증시에서 인공지능 관련 종목군이 부진했던 여파로 하락 출발한 후 단기적인 매물 소화 과정을 보였다"며 “특히 원·달러 환율이 1,450원을 넘어서며 원화 약세가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은 모두 하락 마감했다. 삼성전자(-1.31%)가 나흘째 내려 9만7000원대로 밀려났으며, SK하이닉스(-2.19%)도 58만원대로 내려섰다. 아울러 LG에너지솔루션(-1.38%), 현대차(-1.86%), 기아(-1.70%), 두산에너빌리티(-1.77%), 한화에어로스페이스(-4.85%) 등도 하락했다.
코스닥 876.81로 마감...코스피와 비슷
▲7일 코스닥시장 현황. 보라색, 주황색, 하늘색 선은 각각 개인, 외국인, 기관 투자자 매매 동향/출처=네이버증권
코스닥시장도 상황은 비슷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1.36포인트(2.38%) 내린 876.81에 장을 마감했다. 코스닥지수는 장중 864.67까지 떨어졌다가 외국인들의 매도세가 수그러들면서 870선을 회복했다.
이날 코스닥시장에서도 기관과 외국인이 622억원, 11억원씩 순매도하고, 개인만 950억원 규모로 순매수했다.
코스닥시장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펩트론(13.49%)만 강세를 보였다. 알테오젠(-3.47%)을 비롯해 에코프로비엠(-4.37%), 에코프로(-6.44%), 레인보우로보틱스(-3.35%), HLB(-5.74%) 등은 내렸다.
이날 시장은 약세였지만 코스닥시장에 입성한 복합 신뢰성 환경 시험 장비 기업인 이노테크(300%)는 '따따블'(공모가 대비 4배 상승)에 성공했다. 이노테크는 개장 직후부터 강세를 보이며 이날 300% 오른 5만8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당분간 조정 장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조아인 삼성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의 대량 매도세가 이어지는 점이 원화 가치 하락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아직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 정지) 종료에 대한 시장의 기대는 낮은 상황인데, AI 거품론과 원·달러 환율 급등세가 진정되기 위해서는 셧다운 종료가 선행돼야 한다"고 했다.
서울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전일 오후 3시 30분 주간종가 대비 9.2원 오른 1456.9원에 거래를 마쳤다.




![[금융 풍향계] 농협은행, 최고 연 7.1% ‘NH대박7적금’ 출시 外](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07.1ef1cc3bb9e84e569192835159c75017_T1.jpg)




![[보험사 풍향계] 삼성화재, ‘보험 쿠폰’ 서비스 신설 外](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07.66458d4e03164cfaba04ccd92047fbe8_T1.png)
![[EE칼럼] 데이터센터와 배터리의 위험한 동거, ‘액화공기’가 해결책인 이유](http://www.ekn.kr/mnt/webdata/content/202511/40_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jpeg)
![[EE칼럼] 전력시장 자율규제기관 독립화 담론, 개혁인가 성역 강화인가](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401.785289562a234124a8e3d86069d38428_T1.jpg)
![[김병헌의 체인지] APEC, 한국의 외교적 주도권과 실질 성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625.3530431822ff48bda2856b497695650a_T1.jpg)
![[이슈&인사이트] 부동산 담보의 그늘을 넘어: 은행의 사업전환이 여는 신성장의 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06.a8abc0924bc74c4c944fec2c11f25bb1_T1.jpg)

![[기자의 눈] 산업부가 자초한 ‘톡신 카르텔’ 논란, 깜깜이 행정 불신만 키워](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0928.c9d7807f66b748519720c78f6d7a3aca_T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