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유재형 기자

poem@ekn.kr

유재형 기자기자 기사모음




한중일 98개 시민단체 ‘석탄 중단과 재생에너지 확대’ 요구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5.11.27 15:15

"파리 기후총회에서 공동행동 나설 것"

▲한국, 중국, 일본의 98개 시민사회 단체가 석탄화력발전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사진은 벨챁토우 화력발전소 전경. <사진제공=코트라>

[에너지경제신문 유재형 기자] 한국, 중국, 일본의 98개 시민사회단체는 동아시아의 지속가능한 저탄소 사회 실현을 위해 석탄화력발전의 중단, 에너지 효율화와 재생에너지 확대, 평화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을 26일 냈다.

이들 시민단체는 오는 30일 파리에서 열릴 21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를 앞두고 "지구적 기후변화 위기에 대해 시민사회는 아래로부터의 대안을 만들어가고 있으며, 정부를 비롯한 각계가 이에 응답해야 한다는 의미를 갖는다"고 밝혔다.

이번 ‘기후변화 대책 강화와 지속가능한 동아시아 협력을 위한 한중일 시민사회 공동성명’은 기후변화 문제에서 3개국의 책임과 역할이 크다는 점을 강조했다. 중국, 일본, 한국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에서 각각 1위, 5위, 7위를 차지하며, 세계 총 배출량에서 3분의 1을 차지한다.

이에 시민사회는 온실가스 배출 주범인 석탄화력발전의 중단을 요구했다.

한중일은 국내외에서 탄광 개발과 석탄화력발전소 확대에 앞장서왔지만, 최근 중국에서 석탄 소비량 감소와 규제 정책의 도입은 긍정적 신호를 나타냈다.

반면 한국과 일본 정부는 석탄화력발전의 대거 확대를 승인하면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약화시켰고 해외 석탄 사업에 대한 공적금융을 적극 지원해왔다는 것이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이번 성명은 한국, 일본, 중국 각국에서는 국내외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서 석탄을 비롯한 화석연료로부터 탈피한 에너지 시스템으로 전환할 것을 요구"하는 바람이 담겼다고 설명했다.

또 이번 공동성명은 에너지 효율향상과 재생에너지 확대가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시민들이 공동 소유하고 운영하는 재생에너지 모델이 확산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의 가격 경쟁력 향상에 따라 점차 가속화"된다며 "한중일 시민사회는 에너지와 식량 위기를 가중시키는 기후변화에 공동 대응하며 동아시아의 평화 체제에 기여하자"는 데에도 한목소리를 냈다.

한편, 한중일 시민사회는 2010년부터 ‘동아시아 기후 네트워크’를 구성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협력을 하고 있으며, 일본태양광에너지교육협회(JSEA), 중국 우링 산림생태환경보호연맹, 한국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와 환경운동연합 등 이들 시민사회단체는 지난 9월 텐진에서 열린 회의에서도 이번 공동성명을 결의했다. 한중일 시민사회는 파리 기후총회에서도 이번 성명을 국제적으로 알리고 공동행동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