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의 모습. 픽사베이 |
에너지원별 사업자들은 협회를 중심으로 각 에너지원별 REC 가중치 상향을 위해 치열한 물밑 작업이 한창이다. REC 가중치 개편에 따라 에너지원별 REC 시장규모가 수백 억 원 씩 차이나 사업자들의 수익 크기를 좌우할 수 있어서다.
24일 신재생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다음 달 6일 REC 가중치 개편안 공청회에 앞서 업계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개별 간담회를 추진 중이다. 특히 한국재생에너지산업발전협의회(한재협)는 이전부터 정부와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여야 간사들과 만나 중소규모 태양광과 소형풍력 발전에 REC 가중치 상향을 요청한 바 있다.
한재협 관계자는 "REC 가중치 개편안 발표를 앞두고 에너지원별로 산업부와 간담회를 추진하고 있다"며 " 업계에서 REC 가중치 상향이나 유지를 위해 치열하게 움직이고 있다"고 전했다.
신재생에너지업계가 REC 가중치 개편에 민감한 이유는 REC 가중치가 내려가면 발전 사업의 REC 수익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REC 가중치가 올라가면 REC 수익이 증가한다.
특히 현재 전체 REC 발급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태양광과 바이오매스 발전 업계의 경우 REC 가중치가 0.1만 변해도 앞으로의 REC 시장 규모가 크게 달라질 수 있어 사활을 걸고 해당 REC 가중치 상향 또는 유지에 나서고 있다.
![]() |
홍기웅 전국태양광발전협회장은 "중소태양광 발전사업자를 위한 REC 가중치 개편이 되도록 산업부와의 간담회에서 적극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산림바이오매스에너지협회도 지난 4월 국회 토론회를 통해 이용하지 않는 목재 자원인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 REC 가중치 상향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는 현재 REC 가중치 2.0을 적용받는다. 산림재해 예방 등 사회적 효과가 있지만 높은 수집 비용 등으로 업계서는 가중치 상향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협회 관계자는 "이번 REC 가중치 조정에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 상향이 포함되지 않을 경우 애써 쌓아올린 산업기반이 붕괴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REC 가중치 개편은 3년마다 시행한다. 지난 2018년에 개편된 데 이어 올해 개편 시기가 됐다. 올해 REC 가중치가 개편되면 내년부터 발전을 시작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에 개편된 REC 가중치가 적용된다. 이미 발전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에는 REC 가중치 개편안이 소급 적용되지 않는다.
전력거래소의 REC 거래시장 거래량 및 거래금액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 한 해 REC 총 거래 금액은 2조3834억5700만에 이른다. 올해 들어 5월까지만 해도 REC가 벌써 총 1조5097억1500만 규모로 거래됐다.
REC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가 전력을 생산하면 한국에너지공단으로부터 발급되는 인증서다. REC는 신재생에너지의무공급화(RPS)를 지켜야 하는 한국전력 산하 발전 공기업 등에 판매된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들은 생산 전력량 만큼 REC를 발급받아 판매함으로써 도매시장 전력가격인 SMP(계통한계가격)에 더해 추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의 전력생산 단가는 아직 화력과 원자력 발전보다 높다. 이에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육성하기 위해 REC 제도를 시행해 보조금 형식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업자에 지원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중에서도 정부가 육성을 더 필요하다고 보는 에너지원에는 REC 가중치를 높게 부여한다. REC 가중치가 높을수록 같은 전력량을 생산해도 REC를 더 많이 발급받을 수 있다. REC는 생산 전력 1MWh당 하나가 발급되는 데 REC 가중치가 2.0이면 두 개가 발급되는 식이다. 반대로 가중치가 낮으면 REC는 더 적게 발급된다. REC 가중치가 0,5면 2MWh의 전력을 생산해야 REC가 1개 발급된다.
wonhee454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