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국내 중소형 증권사들이 올해 증시 호황에 힙입어 대형 증권사 못지 않은 사상 최대 실적을 내며 승승장구했다. 동학개미운동을 시작으로 2030세대가 증시의 새로운 세력으로 부상하면서 증권사들 역시 디지털과 상품에 혁신을 거듭,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은 교보증권과 현대차증권, 하이투자증권, 유안타증권, 한화투자증권, IBK투자증권, 등 자기자본 1조원 이상의 중형 증권사들의 상반기 성과와 과제, 전망을 짚어본다.
[에너지경제신문=윤하늘 기자] 유안타증권, 한화투자증권, IBK투자증권 등 3사가 매섭게 성장하면서 중형증권사 순위 판도가 흔들리는 모양새다. 이들 증권사는 올해 상반기 유상증자와 호실적, 신사업 확장 전략이 맞물리면서 몸집이 커진 만큼 각 사의 강점을 살린 사업으로 1등 중형증권사 자리를 노린다는 복안이다.
◇ 유안타증권, 순익 1000억원 시대…IB로 성장 한계 뛰어 넘는다
유안타증권은 올해 상반기 자본력과 수익창출력을 인정받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에도 기업금융(IB) 부문에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간 덕이다.
7일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유안타증권은 올해 1분기 1110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557% 증가한 수치로, 지난해 연간 순이익 1050억원을 뛰어넘는 실적이다. 유안타증권은 자기자본 5000억원 이상, 2조원 미만의 중소형 증권사를 통틀어 유일하게 순이익 1000억원을 넘기며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키움증권, 대신증권, 교보증권 등은 IB 경쟁력을 바탕으로 순이익 성장세를 이어왔다. 키움증권, 교보증권의 경우 매년 순이익 성장세를 나타냈고 대신증권도 일시적 감소세를 보였지만 그간 유안타증권은 경쟁 증권사들에 비해 IB 성장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타 증권사들이 코로나19 이전 IB 호황 때 사상 최대 순이익 행진을 이어가며 고속 성장할 때 유안타증권은 주춤하기도 했다. 유안타증권의 3년간 순이익을 살펴보면 2018년 1029억원에서 2019년 778억원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증시 호황으로 주요 증권사들이 사상 최대 이익을 내는 상황에서도 순이익은 916억원에 그치기도 했다.
그러나 올해 상반기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였다. 유안타증권은 지난해 말 오른 신용등급을 바탕으로 3월 진행한 회사채 3년물 수요예측에서 총 53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끌어모았다. 애초 모집금액은 1000억원이었는데, 5배를 넘어선 것이다.
여기에 알토스벤처스IV 펀드 투자 평가이익 약 730억원을 얻었다. 알토스벤처스IV 내 편입된 로블록스와 쿠팡 등이 지난 3월 미국 나스닥에 상장하면서 실적에 영향을 미친 셈이다.
골프장 및 골프 용품 인수합병(M&A) 거래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골프 용품 브랜드 마제스티골프를 인수하는 스마트스코어 컨소시엄이 인수 대금 총 3100억원 중 절반을 유안타증권서 조달한다. 블루버드CC 및 유니아일랜드CC 등 국내 골프장 거래에서 인수 금융과 부동산 담보대출 등을 제공하기도 했다. 5월엔 2조원 규모 테일러메이드 인수를 추진하는 센트로이드인베스트먼트에 6800억원 규모의 투자확약서(LOC)를 제공했다. 이는 유안타증권 자기자본 약 1조 4000억원의 절반 수준이다.
유안타증권은 IB 조직 정비를 통해 중소·중견 기업들을 겨냥한 영업 확대에 주력하는 등 다양한 딜을 맡으며 영역을 확대, 1등 중형사로 자리를 굳힐 계획이다.
◇ 이슈 메이커 한화투자증권, 동남아 시장 저격
한화투자증권은 올해 상반기 성장 가능성을 확실히 보여줬다. 지난해 역성장에 아픔을 딛고 10년래 최대 분기 실적을 거두기도 했고, 동남아 시장에 진출한 해외법인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여기에 한화투자증권 보통주와 우선주가 동남아 전략과 코인 관련주로 묶이면서 강세를 보이며 주가는 연초 보다 3배 가까이 급등했다.
한화투자증권은 올해 1분기 481억원의 순이익을 603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증시 호황으로 브로커리지(수탁수수료)를 포함한 리테일 부문 수익이 크게 향상되면서 수탁수수료 수익이 전년 보다 93.2% 증가했다.
국내에서만 수익을 낸 게 아니다. 한화투자증권은 온라인 주식거래 전문 증권사 HFT증권을 인수, 지난 2019년 12월 파인트리증권을 설립했는데, 2년 만에 1분기 7900만원의 순이익을 내면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파인트리증권의 순이익은 1억71000만원 순손실이었다.
한화투자증권은 2년 간 빅데이터 자회사인 데이터애널리틱스랩과 협업해 현지 고객을 저격한 베트남형 디지털금융 플랫폼 구축 계획을 세우며 신규 투자자 유치를 위해 마케팅 역량을 강화해왔다. 주식 투자 경험이 없는 베트남 투자자를 위해 가상 투자 학습과 실습을 결합한 어플리케이션(앱) 스톡123(Stock123)을 개발했다. 국내에서 처럼 주식거래 수수료 무료 이벤트도 진행하기도 했다.
최근엔 파인트리증권이 우리은행 홍콩지점과 2000만 달러(약 220억원) 규모 신용공여 계약을 맺으면서 관심을 끌었다. 베트남 증시도 호황을 보이자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 투자하는 이른바 ‘빚투’ 개인투자자들이 급증, 선제적으로 자금을 확보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화투자증권은 베트남은 넘어 동남아로 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오는 2025년까지 동남아 제1의 디지털 금융사로의 도약을 노린다.
◇ IBK투자증권, 중기특화증권사 입지 굳힌다...정책금융 기여
IBK투자증권은 최대 강점인 IB 부문에서 중소기업 맞춤 서비스에 주력하며 성장하는 모양새다. 수익성 개선과 자기자본 증가, 신용 등급도 상향 조정된 만큼 잠재력 있는 수익 모델 발굴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IBK투자증권의 1분기 당기순이익 221억원으로 전년 동기(98억원) 대비 125.5% 증가했다. 지난해 코로나19 여파로 반토막 난 순이익을 1년 만에 회복한 것이다. 그간 약점으로 꼽혔던 자산관리(WM)와 주력 사업인 IB 부문의 합작품이었다.
IBK투자증권은 2008년 설립된 8개 증권사 가운데 최초로 자기자본 1조원을 넘어섰다. 올해 초 2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와 1분기 거둔 순수익을 더했을 때 결과다. 이를 바탕으로 나이스신용평가와 한국신용평가는 IBK투자증권의 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하기도 했다.
하반기에도 자기자본 확충에 따른 시장지배력 제고와 수익성, 재무건전성을 바탕으로 중형증권사로 위상을 강화할 방침이다. 먼저 힘을 쓰고 있던 WM 부문에서 해외주식에 집중해 PIB 영업확대, 비대면 채널 시스템 구축, 데이터 기반 종합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 혁신기업을 코넥스 시장에 상장시킨 후 코스닥 이전상장을 통한 수익 모델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중소·중견기업 네트워크와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중기특화증권사로서 자리매김 할 예정이다.
아울러 초기 단계부터 기업공개(IPO) 컨설팅, 신기술 금융투자 등을 연계해 잠재력이 높은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 중기 특화 증권사로서 정책금융에 기여할 계획이다. 특히 60억원에서 100억원 규모의 중소형 스팩(SPAC)을 활용한다. 공모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데다 성장성 높은 종목과 합병하면 상장 이후 주가 상승에 따른 추가 수익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에너지경제신문=윤하늘 기자] 유안타증권, 한화투자증권, IBK투자증권 등 3사가 매섭게 성장하면서 중형증권사 순위 판도가 흔들리는 모양새다. 이들 증권사는 올해 상반기 유상증자와 호실적, 신사업 확장 전략이 맞물리면서 몸집이 커진 만큼 각 사의 강점을 살린 사업으로 1등 중형증권사 자리를 노린다는 복안이다.
◇ 유안타증권, 순익 1000억원 시대…IB로 성장 한계 뛰어 넘는다
유안타증권은 올해 상반기 자본력과 수익창출력을 인정받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에도 기업금융(IB) 부문에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간 덕이다.
7일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유안타증권은 올해 1분기 1110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557% 증가한 수치로, 지난해 연간 순이익 1050억원을 뛰어넘는 실적이다. 유안타증권은 자기자본 5000억원 이상, 2조원 미만의 중소형 증권사를 통틀어 유일하게 순이익 1000억원을 넘기며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키움증권, 대신증권, 교보증권 등은 IB 경쟁력을 바탕으로 순이익 성장세를 이어왔다. 키움증권, 교보증권의 경우 매년 순이익 성장세를 나타냈고 대신증권도 일시적 감소세를 보였지만 그간 유안타증권은 경쟁 증권사들에 비해 IB 성장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타 증권사들이 코로나19 이전 IB 호황 때 사상 최대 순이익 행진을 이어가며 고속 성장할 때 유안타증권은 주춤하기도 했다. 유안타증권의 3년간 순이익을 살펴보면 2018년 1029억원에서 2019년 778억원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증시 호황으로 주요 증권사들이 사상 최대 이익을 내는 상황에서도 순이익은 916억원에 그치기도 했다.
그러나 올해 상반기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였다. 유안타증권은 지난해 말 오른 신용등급을 바탕으로 3월 진행한 회사채 3년물 수요예측에서 총 53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끌어모았다. 애초 모집금액은 1000억원이었는데, 5배를 넘어선 것이다.
여기에 알토스벤처스IV 펀드 투자 평가이익 약 730억원을 얻었다. 알토스벤처스IV 내 편입된 로블록스와 쿠팡 등이 지난 3월 미국 나스닥에 상장하면서 실적에 영향을 미친 셈이다.
골프장 및 골프 용품 인수합병(M&A) 거래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골프 용품 브랜드 마제스티골프를 인수하는 스마트스코어 컨소시엄이 인수 대금 총 3100억원 중 절반을 유안타증권서 조달한다. 블루버드CC 및 유니아일랜드CC 등 국내 골프장 거래에서 인수 금융과 부동산 담보대출 등을 제공하기도 했다. 5월엔 2조원 규모 테일러메이드 인수를 추진하는 센트로이드인베스트먼트에 6800억원 규모의 투자확약서(LOC)를 제공했다. 이는 유안타증권 자기자본 약 1조 4000억원의 절반 수준이다.
유안타증권은 IB 조직 정비를 통해 중소·중견 기업들을 겨냥한 영업 확대에 주력하는 등 다양한 딜을 맡으며 영역을 확대, 1등 중형사로 자리를 굳힐 계획이다.
◇ 이슈 메이커 한화투자증권, 동남아 시장 저격
▲한화투자증권 본사. |
한화투자증권은 올해 1분기 481억원의 순이익을 603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증시 호황으로 브로커리지(수탁수수료)를 포함한 리테일 부문 수익이 크게 향상되면서 수탁수수료 수익이 전년 보다 93.2% 증가했다.
국내에서만 수익을 낸 게 아니다. 한화투자증권은 온라인 주식거래 전문 증권사 HFT증권을 인수, 지난 2019년 12월 파인트리증권을 설립했는데, 2년 만에 1분기 7900만원의 순이익을 내면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파인트리증권의 순이익은 1억71000만원 순손실이었다.
한화투자증권은 2년 간 빅데이터 자회사인 데이터애널리틱스랩과 협업해 현지 고객을 저격한 베트남형 디지털금융 플랫폼 구축 계획을 세우며 신규 투자자 유치를 위해 마케팅 역량을 강화해왔다. 주식 투자 경험이 없는 베트남 투자자를 위해 가상 투자 학습과 실습을 결합한 어플리케이션(앱) 스톡123(Stock123)을 개발했다. 국내에서 처럼 주식거래 수수료 무료 이벤트도 진행하기도 했다.
최근엔 파인트리증권이 우리은행 홍콩지점과 2000만 달러(약 220억원) 규모 신용공여 계약을 맺으면서 관심을 끌었다. 베트남 증시도 호황을 보이자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 투자하는 이른바 ‘빚투’ 개인투자자들이 급증, 선제적으로 자금을 확보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화투자증권은 베트남은 넘어 동남아로 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오는 2025년까지 동남아 제1의 디지털 금융사로의 도약을 노린다.
◇ IBK투자증권, 중기특화증권사 입지 굳힌다...정책금융 기여
▲IBK투자증권. |
IBK투자증권의 1분기 당기순이익 221억원으로 전년 동기(98억원) 대비 125.5% 증가했다. 지난해 코로나19 여파로 반토막 난 순이익을 1년 만에 회복한 것이다. 그간 약점으로 꼽혔던 자산관리(WM)와 주력 사업인 IB 부문의 합작품이었다.
IBK투자증권은 2008년 설립된 8개 증권사 가운데 최초로 자기자본 1조원을 넘어섰다. 올해 초 2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와 1분기 거둔 순수익을 더했을 때 결과다. 이를 바탕으로 나이스신용평가와 한국신용평가는 IBK투자증권의 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하기도 했다.
하반기에도 자기자본 확충에 따른 시장지배력 제고와 수익성, 재무건전성을 바탕으로 중형증권사로 위상을 강화할 방침이다. 먼저 힘을 쓰고 있던 WM 부문에서 해외주식에 집중해 PIB 영업확대, 비대면 채널 시스템 구축, 데이터 기반 종합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 혁신기업을 코넥스 시장에 상장시킨 후 코스닥 이전상장을 통한 수익 모델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중소·중견기업 네트워크와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중기특화증권사로서 자리매김 할 예정이다.
아울러 초기 단계부터 기업공개(IPO) 컨설팅, 신기술 금융투자 등을 연계해 잠재력이 높은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 중기 특화 증권사로서 정책금융에 기여할 계획이다. 특히 60억원에서 100억원 규모의 중소형 스팩(SPAC)을 활용한다. 공모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데다 성장성 높은 종목과 합병하면 상장 이후 주가 상승에 따른 추가 수익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