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서예온

pr9028@ekn.kr

서예온기자 기사모음




11월 물가 3.7%↑…10년 만에 최대폭 상승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1.12.02 14:48

농축산물에 기름값·가공식품·서비스료까지 모두 올라

통계청 "오름세 지속 가능성"…홍남기 "12월엔 둔화"

clip20211202141341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식료품을 구매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서예온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달인 10월보다 더 높이 치솟으면서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제유가 상승세가 지속되며 석유류 가격이 크게 오른데다, 외식·가공식품과 채소류 가격까지 강세를 보인 점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9.41(2015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7% 상승했다. 이는 2011년 12월(4.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며 올해 들어 최고치다. 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3%대를 기록한 것도 2012년 1월(3.3%)과 2월(3.0%) 이후 처음이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월(2.3%), 5월(2.6%), 6월(2.4%), 7월(2.6%), 8월(2.6%), 9월(2.5%) 등으로 6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하다가 10월 3.2%로 뛰어올랐고 11월에는 오름폭을 더욱 키웠다.

11월 물가 상승률 3.7% 중 2.9%포인트(p)는 석유류(1.32%p), 개인서비스(0.96%p), 농축수산물(0.64%p) 기여분이다. 기름값, 외식비 등 서비스 가격,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이 11월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는 의미다.

이중 석유류는 35.5% 상승해 2008년 7월(35.5%)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휘발유(33.4%), 경유(39.7%), 자동차용 LPG(38.1%), 등유(31.1%)가 전부 상승했다.

정부가 지난달 12일부터 유류세를 20% 인하했지만 3번에 걸친 물가조사 중 1번만 반영돼 석유류 가격을 낮추는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우윳값 상승 등 여파로 빵(6.1%)을 비롯한 가공식품도 3.5% 상승했다.

석유류와 가공식품이 모두 오르면서 공업제품은 5.5% 올라 2011년 11월(6.4%) 이후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기·수도·가스는 1.1% 상승했다.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과 경기 회복에 따라 소비가 늘어나면서 서비스 가격도 많이 올랐다. 생선회(9.6%) 등 외식이 3.9% 오르고 보험서비스료(9.6%) 등 외식 이외 서비스도 2.3% 올라 개인서비스는 3.0% 상승했다. 개인서비스 상승 폭은 2012년 1월(3.1%) 이후 최대다.

집세도 1.9% 올랐다. 전세는 2.7% 올라 2017년 10월(2.7%) 이후 가장 상승 폭이 컸고 월세는 1.0% 상승해 2014년 6월(1.0%) 이후 처음으로 1%대를 기록했다.

10월 5.4% 상승률을 기록한 공공서비스는 11월 0.6%로 상승 폭을 줄였다. 지난해 통신비 지원 기저효과가 대부분 사라졌기 때문이다.

오름세가 잦아드는가 싶었던 농축수산물도 기온 급감에 따른 작황 부진 등으로 11월에는 상승률 7.6%를 기록했다. 농축수산물 상승률은 8월 7.8%에서 9월 3.7%, 10월 0.2%로 축소되다가 이번에 다시 확대됐다. 오이(99.0%), 상추(72.0%)가 대폭 올랐고 달걀(32.7%), 수입쇠고기(24.6%), 돼지고기(14.0%) 국산쇠고기(9.2%)도 값이 뛰었다.

향후의 물가 전망을 두고 정부와 통계청의 관측은 엇갈렸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국제유가나 곡물·원자재 가격 추이를 볼 때 석유류 등 공업제품 가격의 오름세가 둔화할 가능성은 크지 않고 개인서비스도 방역체계 전환, 소비심리 회복으로 오름세 지속 가능성이 크다"며 "12월 물가도 상당폭의 오름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3% 후반까지 치솟은 물가 상승률이 쉽사리 내려가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반면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12월에는 국제유가 상승세 진정, 유류세 인하 효과, 김장 조기 종료 등으로 물가 상승 폭이 둔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pr9028@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