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의뢰기관 :에너지경제신문 / 조사기관 : 리얼미터 / 조사기간 : 2022년 5월 16∼17일 / 표본수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7명 / 조사방법 : 무선(90%), 유선(10%) / 응답률 : 2.8% /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
[에너지경제신문 오세영 기자] 지방자치단체장 관사 활용방안에 대해 ‘관사를 처분해 지방재정에 충당해야 한다’는 여론이 30%에 육박했다.
관사 활용 제도 개선에 대해서는 ‘기존 관사를 유지하되 개선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여론이 ‘즉시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보다 근소한 차이로 우세했다.
에너지경제신문은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지난 16∼17일 전국 18세 이상 1007명을 상대로 실시한 지자체 관사운영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가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지자체장 관사를 향후 어떤 형태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는 ‘처분 후 지방재정에 충당’이라는 응답이 27.7%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지방 행정 시설로 활용’이 23.5%로 오차범위 내 차이를 보이며 뒤를 이었다. 이어 ‘개방해 주민 휴식 시설로 활용’이 21.2%로 나타났다. ‘지자체장 관사로 계속 사용’은 15.8%로 가장 낮았다. 이 밖에 ‘기타 운영 방안’ 5.4%, ‘잘 모르겠다’ 6.4%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처분 후 지방재정에 충당’이라는 응답에는 강원이 52.1%로 가장 높았다. ‘지방 행정시설로 이용’ 답변은 제주가 50.5%로, ‘개방해 주민 휴식 시설로 사용’은 부산·울산·경남 26.3%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처분 후 지방재정에 충당’에 50대가 30.4% 답변률을 보이면서 가장 높았다. ‘지방 행정시설로 이용’ 답변은 30대가 30.9%로, ‘개방해 주민 휴식 시설로 사용’은 60대 25.8%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처분 후 지방재정에 충당’이라는 응답에 남성(30.0%)이 여성(25.4%)보다 소폭 높았다. ‘지방 행정시설로 이용’ 답변에는 여성(25.6%)이 남성(21.5*%)보다 앞섰다. ‘개방해 주민 휴식 시설로 사용’이라는 답변 비중도 여성(21.9%)이 남성(20.4%) 근소하게 높았다.
![]() |
▲의뢰기관 :에너지경제신문 / 조사기관 : 리얼미터 / 조사기간 : 2022년 5월 16∼17일 / 표본수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7명 / 조사방법 : 무선(90%), 유선(10%) / 응답률 : 2.8% /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
관사 제도 개선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기존 관사를 유지하되 개선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응답률이 43.9%, ‘즉시 폐지해야 한다’가 43.5%로 오차범위 내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굳이 개선할 필요 없이 그대로 둬야 한다’는 응답은 5.4%에 불과했다. ‘잘 모르겠다’는 7.1%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기존 관사를 유지하되 개선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응답률이 ‘즉시 폐지’보다 높은 곳은 △광주·전남·전북 48.0% △대전·충청·세종 46.3% △서울 44.5%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즉시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기존 관사 유지하며 개선’보다 우세한 지역은 △강원 57.9% △대구·경북 48.8% △부산·울산·경남 48.2% △제주 47.3% △경기·인천 44.7%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8∼29세 47.6% △30대 50.9% △40대 48.6% 등에서 ‘기존 관사를 유지하되 개선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응답률이 ‘즉시 폐지’보다 높게 나타났다.
50대 이상에서는 ‘즉시 폐지’ 응답률이 △50대 54.2% △60대 이상 44.5%로 ‘기존 관사 유지하며 개선’ 응답보다 높았다.
남성은 ‘즉시 폐지해야 한다’는 응답에 46.9%가 찬성, 여성은 ‘기존 관사 유지하되 개선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응답에 46.2%가 찬성하면서 여론이 나뉘었다.
claudia@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