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엔화 환율, 연중 최고치로 다시 급등…‘슈퍼 엔저’에 당국 또 개입?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6.21 11:06
5

▲엔/달러 환율(사진=로이터/연합)

미 달러화 대비 일본 엔화 환율이 7일 연속 오르면서 34년만 최고 수준을 향해 다시 치솟고 있다. 이에 일본 당국이 또다시 시장개입에 나설지 시장참가자들은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23일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지난 주 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은 달러당 159.82엔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지난 13일부터 7 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한 엔/달러 환율은 종가 기준으로 올해 최고치다.


엔화 환율이 159엔대를 다시 넘어선 적은 지난 4월 29일 이후 약 2달만으로, 이때 당시엔 환율이 161엔 코앞까지 빠른 속도로 치솟자 일본 당국이 달러를 팔고 엔화를 매수하는 등 외환시장 개입에 나섰다.


그 영향으로 엔/달러 환율은 151엔대까지 하락했지만 다시 상승 전환하더니 결국 올해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오르게 된 것이다.


이러한 배경엔 미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들과 일본의 금리차가 여전히 확대된 상황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일본은행이 최근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장기채 매입 규모 감축 계획 발표를 내달로 미룬 것이 엔화 약세를 부추겼다. 일본의 통화정책 정상화 시기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고조된 탓이다.




RBC 캐피털 마켓의 알빈 탠 아시아 외환 전략 총괄은 “국채 매입 규모 축소에 대한 명확한 내용을 예상했던 시장 기대감보다 더 비둘기파적"라며 “일본은행이 구체적인 축소 계획을 결정했는지 다음 회의에 결정할지 현 시점에서 불분명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여기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1회 기준금리 인하를 시사하고 이로 인하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는 것도 엔저의 또 다른 요인으로 지목된다.


실제 블룸버그 달러 현물지수는 5주 연속 오르면서 지난 21일 1268.09에 장을 마감했다. 이는 지난 4월 16일 직전 최고치를 넘어선 것이다 지난해 1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모넥스의 헬렌 기븐 외환 트레이더는 “연준이 금리를 나리지 않는 한 달러가 반전될 여지가 거의 없다"며 “연준이 완화하는 쪽으로 움직이기 전까지 일본 엔화, 스위스 프랑화가 앞으로 몇 달 동안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바클레이즈의 카도타 신이치로 전략가는 “미일 금리차가 특정 수준을 넘어서는 한, 일부 좁혀지더라도 캐리 트레이드를 위한 엔화 매도세가 둔화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올 연말까지 엔/달러 환율이 달러당 160엔 근처에 머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일본 당국이 또다시 외환 개입에 나설지 관심이 쏠린다.


앞서 일본 정부는 지난 4월 29일 엔/달러 환율이 34년 만에 처음으로 달러당 160엔선을 넘어서자 약 9조8000억엔을 들여 시장 개입에 나선 바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외환시장 개입에도 엔화 약세의 근본적인 원인인 미일 금리차가 크게 줄어들기 힘든 상황이어서 개입 효과는 일시적일 것이라고 보고 있다.


기븐 트레이더는 “당국이 엔화를 포기하고 있다는 것을 갈수록 확신하고 있다"며 “금리차를 극복하기엔 너무 큰 데다 미국에선 올해 한 차례만 인하를 시사하고 있어 상황이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엔/달러 환율이 달러당 최소 163엔을 찍어야 개입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 당국은 '급격한 환율 흐름'을 경계하고 있다고 강조해왔는데 칸다 마사토 일본 재무성은 1개월 이내 달러당 10엔 움직여야 급격한 것으로 보고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지난 20일까지 28일간 엔/달러 환율은 최저점에서 5.35엔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미 재무부가 발표한 '2024년 상반기 환율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을 포함해 총 7개 국가가 환율 관찰대상국으로 지정됐다. 올해 일본 당국이 10조엔에 육박한 규모로 외환시장에 직접 개입했음에도 환율 조작국으로 분류되지 않은 것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