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30일(일)
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현금 고갈된 미국인들…연준, 공격적인 금리인하로 구원투수 나서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6.28 11:15


US-MAY-INFLATION-NUMBERS-TO-BE-REPORTED-WEDNESDAY-AHEAD-OF-FED-R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한 마트에 소비자가 물건을 고르고 있다(사진=AFP/연합)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축적된 2800조원에 육박한 미국인들의 초과 저축액이 고갈된 것으로 분석됐다. 여기에 러시아-우크라니아 전쟁,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 무역긴장, 상업용 부동산 리스크, 유럽 정치권 불안 등 산적한 대내외 악재들까지 겹치면서 미국 경기 위기의 뇌관으로 작용될지 관심이 쏠린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그동안 심각한 침체가 발생했었을 때 기준금리를 공격적으로 끌어내렸던 만큼 이번에 어떻게 대응할지도 주목받는다.


28일 블룸버그통신은 미 샌프란시스코 연장준비은행(연은) 자료를 인용해 코로나19 기간 동안 정부 지원금 등으로 축적된 초과 저축액이 지난 3월 모두 소진됐다고 보도했다.


소비는 미 경제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만큼, 소비가 줄어들면 경기 또한 위축될 수 없다. 연준의 공격적인 긴축에도 미국인들이 소비를 이어가면서 미 경제가 견고한 모습을 보여왔던 배경엔 탄탄한 노동시장도 있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약 2조 달러(약 2774조원)에 달하는 미국인들의 초과 저축액이 버팀목 역할을 해왔기 때문이라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그러나 축적된 저축액이 고갈되면서 소비자들이 빠른 속도로 지갑을 닫을 경우 미국 경제에 상당한 부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런 와중에 소비자들의 부채와 연체율은 모두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블룸버그는 뉴욕 연은의 자료를 인용해 “미국 가계부채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고 더 많은 미국인들이 신용카드 결제에서 밀리고 있다"고 짚었다.




웰스파고의 팀 퀸란 선임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가처분소득 대비 주택을 제외한 이자(신용카드, 자동차 등)의 비중이 지난달 2.4%를 기록했는데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인 2008년 이후 최대치로 분석됐다. 그러면서 올 하반기부터 미국 소비가 둔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소비와 직결된 미국 유통업계에서도 이런 현상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 대표 유통업체 타겟의 크리스티나 헤닝턴 최고경영자(CEO)는 회사가 단기적 성장 전망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이유가 급증하는 부채라고 설명했고 월마트의 존 데이비드 레이니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소비자들의 구매 성향이 기호품에서 필수품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전했다.


샌탠더 미국 캐피털 마켓의 스티븐 스탠르 수석 미국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가계가 의지할 수 있었던 초과 저축액은 더 이상 대부분 사용할 수 없다"며 미국인들은 사실상 소득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US-FED-CHAIR-JEROME-POWELL-HOLDS-AN-NEWS-CONFERENCE-ON-INTEREST

▲제롬 파월 연준의장(사진=AFP/연합)

이런 와중에 미국 경제는 다양한 대내외적 악재에 직면한 상황이다.


월가 곳곳에서 기술주 쏠림 현상과 과열 양상을 우려하는 목소리와 함께 올여름 증시가 조정을 받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투자의 달인 워런 버핏이 가장 좋아하는 이른바 '버핏 지표'에서는 거품 우려로 시장이 약세로 돌아서 소비심리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


이 지표는 모든 상장기업의 총가치를 전분기 국내총생산(GDP) 추정치로 나눈 것이다. 이 수치가 200%에 가까우면 고평가로 보는데 현재는 189%에 달한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또 프랑스의 조기 총선에 따른 정치 불확실성도 이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 에버코어의 애널리스트들은 “유럽의 기능 저하를 위협해 새로운 유로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블룸버그는 전쟁 리스크, 미국 상업용 부동산 위기, 미국 대선, 무역갈등 등도 미국 경제를 위협할 수 있는 요인으로 지목하면서 이러한 악재들로 연준이 더 과감한 통화 완화 조치를 취하도록 할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실제 그동안 연준이 금리를 공격적으로 끌어내렸던 배경엔 코로나19 팬데믹, 글로벌 금융위기, 닷컴버블 붕괴, 9·11 테러, 걸프 전쟁 여파 등 대형 위기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미국 금리는 2019년, 2002~2003년, 1995~1996년에도 인하된 적이 있었는데 총 인하폭이 75bp(1bp=0.01%포인트)에 불과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