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미국 대통령 선거일이 다가오면서 이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한국 단기채에 주목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18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래에셋자산운용 최진영 채권운용본부장은 “11월 대선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장기채 중심으로 채권금리가 상승할 위험이 있다"며 “불확실성이 잠잠해지면 한국은행의 금리인하 기대감으로 3년 미만 만기되는 채권이 랠리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최 본부장의 이러한 전망은 한은의 이번 금리인하 사이클에 기준금리가 현재 3.5%에서 2.75%까지 떨어질 것이란 예상에 나왔다. 이로 인해 국고채 3년물 금리가 올 연말 2.9%까지 떨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이달 3.05%로 떨어졌는데 이는 2022년 8월 이후 최저치다.
LS증권은 올 연말까지 국고채 3년물 금리가 최대 40bp(1bp=0.01%) 떨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LS증권의 우혜영 채권 애널리스트는 “금융불균형에 따른 한은의 우려로 첫 금리인하 시점이 8월에서 10월로 미뤄질 수 있지만 이는 타이밍만 지연되는 것"이라며 한국 기준금리가 올해 두 차례(10월, 11월) 인하될 여지가 여전히 있다고 밝혔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달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통방) 회의 후 기자간담회에서 “대다수 금통위원은 현재 당면한 물가와 금융안정 상황을 고려해볼 때 지금 시장에 형성된 금리 인하 기대는 다소 과도한 측면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금리 인하 시점과 관련해 “외환시장, 수도권 부동산, 가계부채 움직임 등 앞에서 달려오는 위험 요인이 많아 불확실한 상황이고,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다른 변수들도 존재하는 만큼 관망세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KB자산운용의 강진원 채권운용실장은 원/달러 환율, 가계부채 수준,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의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가능성 등의 요인들도 감안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