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해리스 매직넘버 하루만에 달성…트럼프와 혈투 예고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7.23 14:38
COMBO-US-POLITICS-VOTE-TRUMP-HARRIS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왼쪽),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사진=AFP/연합)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대권 도전을 공식화한지 하루만에 민주당 대선 후보 지명에 필요한 '매직넘버'를 달성했다. 기부금 또한 1100억원 넘게 모으면서 새 기록을 쓰는 등 해리스 부통령을 중심으로 표심이 빠르게 결집하고 있다. 오는 11월 5일 치러지는 미국 대통령 선거가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민주당 후보를 예약한 해리스 부통령 간의 새로운 대결 구도로 사실상 확정된 셈이다.


22일(현지시간) AP통신과 CNN 방송은 해리스 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을 대신할 민주당 대선후보로 지명될 충분한 대의원을 확보했다고 자체 집계를 토대로 보도했다.


AP통신의 자체 설문조사 결과 해리스 부통령은 이날 오후 현재 대의원 가운데 최소 2214명의 지지를 얻어 대선후보 지명에 필요한 매직넘버(단순 과반)인 1976명을 훌쩍 넘겼다.


비공식 집계이긴 하지만 해리스 부통령이 사실상 민주당 대선 후보 자리를 예약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수치다.


해리스 부통령과 경합할 수 있는 잠룡으로 분류됐던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 조시 셔피로 펜실베이니아 주지사, 피트 부티지지 교통부 장관,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 주지사, J.B. 프리츠커 일리노이 주지사 등이 해리스 지지 대열에 합류했다.




여기에 더해 낸시 펠로시 전 하원의장을 비롯한 민주당 거물급 중진들도 해리스 지지를 잇달아 선언함에 따라 조 바이든 대통령이 재선 포기를 선언한지 불과 하루만에 해리스는 사실상 민주당 대선 후보자리를 차지하게 됐다.


기부금도 쏟아지고 있다. 이날 해리스 대선 캠프는 지난 24시간 동안 88만명으로부터 총 8100만달러(약 1100억원)를 모금했다고 밝혔다. 해리스 캠프와 민주당 전국위원회(DNC), 공동기금 모금 등을 포함한 금액이다. 기부자의 60%는 올 대선에 처음으로 기부하는 사람들이다.


캠프 대변인 케빈 무노즈는 “해리스 부통령에 대한 지지의 역사적인 분출은 대선 승리에 대한 열정과 풀뿌리 에너지를 정확하게 보여준다"고 말했다.


해리스 부통령의 선거자금 총액은 약 2억5000만달러(약 3500억원)에 이른다고 캠프 측은 밝혔다.


Election 2024 Biden Trump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사진=AP/연합)

이에 따라 지난 18일 끝난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대통령 후보로 공식 선출된 트럼프 전 대통령과 민주당 해리스 부통령이 차기 백악관 주인 자리를 놓고 건곤일척의 승부를 벌이게 됐다. 공화당은 부통령 후보로 39세의 J.D. 밴스 연방 상원의원을 선출했고, 민주당은 해리스 부통령이 사실상 대선 후보가 됨에 따라 러닝메이트 부통령 후보를 본격적으로 물색할 예정이다.


트럼프-해리스의 맞대결은 성별(남녀), 인종(흑백), 세대(트럼프 78세ㆍ해리스 59세) 등 태생적으로 주어진 배경 면에서 확연히 다른 두 후보 간의 대결이 되리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앞으로 100여일 남은 선거운동 기간 트럼프 전 대통령은 바이든 행정부의 한 축이었던 해리스 부통령을 겨냥해 불법 입국자 문제, 인플레이션 등 기존에 바이든 대통령을 비판했던 소재들을 그대로 활용하며 '공동책임론'으로 공세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또 관세 인상을 통한 보호주의 무역 강화와 화석에너지 시추 재개, 남부 국경 봉쇄, 국제 분쟁 조기 종식 등 트럼프 전 대통령이 최근 전당대회 후보 수락연설때 밝힌 공약을 점차 구체화해 제시할 전망이다.


해리스 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이 그랬듯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결과 승복 거부 이력을 거론하며 '민주주의 수호가 걸린 대선'이라는 내러티브를 견지할 것으로 보인다.


거기에 더해 여성인 해리스 부통령은 트럼프의 대통령 재임 시절 보수 우위로 확고히 재편된 연방 대법원이 연방 차원에서 낙태 권리를 인정한 '로 대 웨이드' 판결을 2022년 폐기한 사실을 거론하고 낙태 권리를 강조함으로써 여성 지지세 확대를 노릴 것으로 전망된다.


또 검사 출신 이력을 십분 활용해 4건 형사 기소에다가 성추문 입막음돈 지급과 관련한 회사 기록 조작 건으로 유죄 평결까지 받은 트럼프 전 대통령을 상대로 '법 집행자' 대 '중범죄자'의 구도를 부각하려 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바이든을 주저앉히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던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등 민주당 진영의 일부 대주주들이 침묵을 이어가고 있는데다 '미니 경선' 주장도 완전히 사그라든 상태는 아니어서 해리스 바람이 계속 이어질지 찻잔 속 태풍이 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배너